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2225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제 12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 안내
제 12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 안내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 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제12회 시상은 『신소재개발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국내의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산업체 등에서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 하고 있는 40대 전후의 과학기술인으로서, 나.세계정상 수준의 신소재개발 연구를 하였고, 단일 연구성과에 대한 연구과정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룩된 연구업적을 범위로 하며 다.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기술인 2. 시상인원 및 내용 ○ 1명,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3. 제출서류 : ○ 추천서(소정양식) 1부 ○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및 증빙자료 - 추천서 양식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st.re.kr) 에서 다운로드 4. 신청 및 접수처 : ○ 신청기간 : 2009. 12. 31(목)까지 ○ 접 수 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 김병직(☏02-958-6103)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5.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6. 시상일 및 장소 : 2010년 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2010년도 질병관리본부 학술연구용역사업 공모 안내
2010년도 질병관리본부 학술연구용역사업을 실시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연구기관을 공모하오니 전문연구기관 및 연구자분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바랍니다. 가. 공모과제: 2010년도 질병관리본부 학술연구용역사업 1/4분기 추진과제 (총 100개 과제) 나. 공모기간: 2009.11.11(수)~2009.11.25(수), 15일간 다. 공모방법: 유관기관 홈페이지 공지 - 질병관리본부(http://www.cdc.go.kr) - 국립보건연구원((http://www.nih.go.kr) - 생물학정보센터(http://bric.postech.ac.kr) - 나라장터(국가종합전자조달, http://www.g2b.go.kr) - 연구과제관리시스템(http://www.rnd.cdc.go.kr) 라. 신청자격 및 신청서 제출방법 : 전산등록 후 우편 또는 직접방문 제출 마. 연구기관 평가 및 선정방법 : 공개평가, 평점 70점 이상 최상위기관 선정 바. 연구비 집행 및 정산방법 : 연구비카드 집행 및 회계법인 위탁정산 사 선정평가 일정: 2009.12.17(목)~18(금), 21(월)~23(수), 5일간(예정) 아. 첨부문서 - 1/4분기 공모 과제목록 파일 - 1/4분기 공모 과제 공고문(안) - 『질병관리본부 학술 및 전산용역사업편람(인건비기준변경 및 위탁정산제도입)』 전자문서 * 용역사업 담당자 : 질병관리본부 국립보건연구원 연구지원과 이선영(02-380-2962)
IT 소프트웨어개발 해외연수인력 모집
기초기술연구회 및 소관 13개 정부출연연구기관에서는 Global Standard에 맞는 IT Software 개발 분야 맞춤형 인력 양성을 목표로 다음과 같이 해외 연수인력을 모집합니다. □ 연수분야(개발 프로젝트) 연수 분야 (개발 프로젝트) ◦ Avionics(항공전자공학) ◦ HPC(고성능컴퓨팅) ◦ Cloud Computing ◦ Multimedia ◦ DBMS ◦ Mobile Device ※ 연수분야 선정은 기초 공통교육 1개월 진행 후 각 분야 PM(Project manager)과 협의 후 최종 결정 □ 모집인원 : 00명 □ 연수국가 및 지역 : 인도 뱅갈로르 □ 연수 프로그램 기간 프로그램 내용 1개월 C-language 및 CMMi(구 CMM Level 5)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 교육 1개월 팀 별 해당분야 기술교육 5개월 CMMi 소프트웨어 개발 프로세스를 토대로 과제 개발 진행(OJT) ▪연수기업의 엔지니어 4명 포함, 14명 한 팀으로 운영 1개월 연수 진행 결과 발표 및 팀/개인 별 평가 ◦ 연수기업 : 인도 위프로(Wipro)社 □ 연수기간 : 약 8개월 ◦ 연수개시 예정일 : ’10.1.6(수) □ 지원내용 ◦ 교육비 및 왕복항공료, 숙박, 식사(중․석식)제공 ※ 연수기간 중 조식 및 휴일 식사 미제공 □ 지원자격 ◦ 4년제 대학 이공계 졸업 미취업자 (학사 및 석․박사)및 ’10년 2월 졸업예정자 ◦ 공통사항 - 이공계 전공자 및 해외 연수 가능한 자 - C-language 및 기초 영어 회화 가능한 자 □ 선발일정 ◦ 1차 : 서류전형, ◦ 2차 : 필기시험 및 면접 ◦ 전형일정 구 분 일정 서류접수 ’09.11.4(수) ~ 17(화) 서류전형 ’09.11.19(목) 서류전형 합격자발표 ’09.11.20(금) 필기시험 및 면접 ’09.11.24(화) ~ 27(금) 최종 합격자 발표 ’09.12.4(금) ※ 필기시험 과목 : C-language(영문출제) ※ 합격자 발표 : 홈페이지 공고(http://www.kisti.re.kr) □ 제출서류 ◦ 응시원서 1부, 자기소개서 1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홈페이지(http://www.kisti.re.kr) 에서 다운로드하여 사용 ◦ 졸업증명서, 성적증명서, 어학(영어)성적 증빙서류 각 1부 ※ TOEFL, TOEIC, TEPS (’07년 11월 이후 성적) ※ 서류전형 합격자에 한하여 2차 전형 시 제출 □ 제출방법 ◦ 온라인접수 : itsw@kisti.re.kr 로 이메일 접수 □ 기타 ◦ 군필 또는 면제자로서 해외여행결격사유가 없어야 함. ◦ 제출된 서류는 반환하지 않음. ◦ 문의처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경영기획실 (Tel : 042-869-0977) 주관기관 : 기초기술연구회 참여기관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외 12개 출연(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국가핵융합연구소, 국가수리과학연구소,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표준과학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한국원자력연구원, 극지연구소
2010년도 전문연구요원 초빙 안내
2009년도 「KIST 창조성발굴과제」신규과제 공고
2009년도 「KIST 창조성발굴과제」신규과제 공고 KIST에서는 학계 연구자의 창의적 아이디어 개발을 지원하기 위해 창조성발굴과제를 시행하고 있습니다. 이에 2009년도 창조성발굴과제 신규과제 선정계획을 아래와 같이 공고하오니 관심있는 분께서는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9년 8월 11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금동화 1. 사업목적 o 학계 연구자의 창의적 연구과제를 지원함으로써 학연 연구교류 활성화 o 인력․지식․기술 교류의 장을 마련하여 개방형, 혁신주도형 협력연구 추진 2. 공모유형 및 지원규모 구분 내용 공모기술 RFP에 의한 공모 / 세부내역 별첨 참조 지원규모 년간 5천만원 이내 연구기간 2년 이내 / 1년후 연차평가 실시하여 계속지원여부 결정 3. 공모기술 RFP번호 연구개발과제명 지정1 복합기공구조를 가진 표면에서의 유체거동 해석 기술 지정2 인체 삽입용 신경전극소자를 위한 안정적인 전력 공급 기술 지정3 다기능 산화물 박막의 나노구조 in-situ 제어 기술 지정4 Titanate 계열 음극 물질의 전도성 향상을 위한 Band Gap 제어 및 수송특성에 미치는 전자 구조 영향의 해명 지정5 High-throughput Genetic Modification Method for Synthetic Bioengineering of Biofuel Production System 지정6 생리활성 조절 물질 탐색 연구 지정7 탄소섬유용 전구체 PAN의 tacticity제어를 위한 촉매탐색: 컴퓨터시뮬레이션에 의한 분자공학적 모색 * 신청서 첫페이지에 RFP 번호 기재 4. 신청자격 : 전임강사 이상의 국내․외 대학 소속 교원 5. 평가절차 및 평가항목 o 평가절차 및 일정 계획서 제출 (~8.24) ▷ 1차 서면평가 (8.25) ▷ 2차 발표평가 (8.26~8.27) ▷ 과제선정 (9.7) * 평가일정은 내부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세부일정은 과제신청연구자에게 별도 안내 o 평가항목 : 연구방법의 독창성, 연구내용의 적절성, 선행연구 내용, 연구진의 연구수행능력, RFP 부합성 등 6. 신청방법 o 첨부된 연구계획서 양식을 다운로드 후 해당 내용을 작성하여 제출 o 제출서류 : 연구계획서 10부, 제출공문 1부, 전자파일(CD) 1부 o 신청기간 : 2009.8.11~2009.8.24 o 접수방법 : 방문 또는 우편접수(마감일 오후6시까지 도착분에 한함) o 접 수 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계약팀 -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연구계약팀(우:136-791) 7. 문의처 o KIST 연구계약팀 유희준: 02-958-6127, 011-9746-9050, ryuhj@kist.re.kr 좀. 별첨 : 1. 공모기술 RFP 1부 2. 계획서 양식 1부
2009년도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실내공간 에코청정화 원천기술개발)」의 위탁과제 선정공고
2009년도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 (실내공간 에코청정화 원천기술개발)」의 위탁과제 선정공고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2009년도 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실내공간 에코청정화 원천기술개발)의 위탁과제 선정결과를 다음과 같이 공고합니다. 2009년 8월 4일 과제책임자 배 귀 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모주관기관) 위탁과제명 위탁과제책임자 및 소속기관 ① 항균 에어필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이온 부가 기술 개발 이병욱(건국대) ②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상온분해 촉매 반응 기구 연구 박영권(서울시립대) ③ 감염성 미생물의 전파경로 예측기술 개발 김창수(연세대) ④ 실내유해미생물 정밀감지장치 개발 정규열(포항공대) ⑤ 플러그인 센서/액튜에이터 기반 실시간 피드백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 개발 김형석(세종대) ⑥ 전열교환 고분자 신소재 성능평가 및 초고효율 환기시스템 최적설계 이정재(동아대) ※ 연구신청서 보완에 대한 사항은 개별통보 예정 ○ 문의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기술연구단 Tel. 02-958-6670(정재희 박사), 5821(이승복 박사) Fax. 02-958-5805
위탁과제 공모「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 (실내공간 에코청정화 원천기술개발)」
2009년도 「신기술융합형 성장동력사업 (실내공간 에코청정화 원천기술개발)」의 위탁과제 공모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교육과학기술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2009년도 신기술융합형성장동력사업(실내공간 에코청정화 원천기술개발)의 위탁과제를 다음과 같이 공고하오니 연구과제를 신청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09년 7월 14일 과제책임자 배 귀 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공모주관기관) 1. 대상과제 과 제 명 총 사업기간 (단계 연구기간) ‘09년도 연구기간 ‘09년도 연구비 (백만원) ① 항균 에어필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이온 부가 기술 개발 2009 ~ 2013(5년) (2009 ~ 2010, 2년) 2009. 7 ~ 2010. 6 295 내외 ②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상온분해 촉매 반응 기구 연구 ③ 감염성 미생물의 전파경로 예측기술 개발 ④ 실내유해미생물 정밀감지장치 개발 ⑤ 플러그인 센서/액튜에이터 기반 실시간 피드백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 개발 ⑥ 전열교환 고분자 신소재 성능평가 및 초고효율 환기시스템 최적설계 ※ 사업 세부내용은 붙임의 「과제제안요구서(RFP)」 참조 2. 신청자격 및 방법 가. 신청자격 ○ 신청자격 : 「기술개발촉진법」 제7조제1항에서 정하는 기관 및 단체 ○ 연구책임자 자격 : 「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2009.1.6, 교육과학기술부 훈령 제113호)」 제11조 제2항에서 정한 자 - 단, 접수마감일 전일까지 「국가연구개발사업의관리등에관한규정」 제20조에 의하여 참여제한이 종료되지 않는 자는 과제신청 자격이 없음 나. 공고 : 한국연구재단(http://www.nrf.go.kr) 및 한국과학기술연구원(http://www.kist.re.kr) 다. 신청기간 : 2009. 7. 14 ~ 2009. 7. 22(9일간), 18:00까지 라. 신청서류 제출서류 비고 국가연구개발사업의 연구개발계획서 10부 ‘교육과학기술부 소관 연구개발사업 처리규정’ 별첨1 양식 준용(양식 KIST 별도 제공) ※ 연구책임자 및 기관장 직인 필, 신청서는 「한글(hwp)」로 작성 ※ 과제명, 책임자, 연구비 등 양식에서 요구하는 기록사항은 반드시 기재 마. 신청방법 ○ 방문접수(또는 우편접수) - 방문 및 우편접수는 반드시 접수마감 시한 내 도착분에 한하여 인정 - 접수처 :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기술연구단 (우편번호 : 136-791) 3. 과제추진방법 및 평가 가. 과제추진방법 ○ 공고된 제안요구서(RFP)를 충족하는 과제에 대해 공개경쟁 원칙 ○ 선정평가 등의 업무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에서 수행 나. 평가절차 [사전검토] ○ 신청기관(연구책임자)의 자격, 신청서식 등을 검토 - 보완사유가 있을 경우에는 신청자에게 보완을 요청하고, 평가일 전까지 보완되지 않은 신청서는 평가 대상에서 제외 [전문가 평가] ○ 7인 내외의 산·학·연 전문가로 평가단 구성 ○ 평가방법 : 전체 신청과제에 대한 발표 패널평가 실시 ○ 평가항목 - 연구진의 연구능력, 사업목표와의 부합성 - 연구추진 전략의 우수성 [위원회 평가] ○ 세부과제 책임자로 위원회 구성 ○ 전문가 평가서 검토, 평가결과의 타당성 등을 심의하여 선정과제를 최종 확정 ※ 평가결과는 인터넷 홈페이지 게시 및 개별통보 예정 ※ 평가일은 2009. 7. 24(금)이고, 평가장소는 한국과학기술연구원(서울) 국제협력관 제2회의실이며, 당일 평가일정은 과제접수 후 통보·통지 4. 기타 안내사항 및 신청 시 유의사항 ○ 신청 시 기존 특허의 유무 등 지금까지의 연구개발실적을 사전에 정확히 파악하여 중복유사연구가 반복되지 않도록 하여야 함 ○ 사업추진과 관련하여 본 공고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및 시행규칙」을 우선 적용함 ○ 선정된 과제는 「국가연구개발사업의 관리 등에 관한 규정」 16조의3에 따라 연구개발결과로 확보된 연구성과물을 동 규정에서 정한 기관에 기탁 및 등록하여야 함 5. 사업주체 ○ 시행 : 교육과학기술부 ○ 주관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6. 기타 ○ 각종 신청양식 다운로드 (특정연구개발과제신청서) ☞ 한국연구재단 홈페이지(www.nrf.go.kr) ○ 문의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환경기술연구단 Tel. 02-958-6670(정재희 박사), 5821(이승복 박사) Fax. 02-958-5805 붙임 : 1. 각 위탁과제별 사업제안요구서(RFP) 2. 신청양식(위탁연구계획서) 끝. 붙임 1 : 위탁과제별 제안요구서(RFP) RFP 번호 1 과 제 명 항균 에어필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이온 부가 기술 개발 1. 연구목표 ○ 에어로졸 공정에 의해 제조된 항균성 나노구조체의 에어필터 부착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온 부가 기술의 개발 - 정전분무 등을 활용한 이온 발생 : 103 e/cm3 이상 - 기준 필터 대비 항균 성능 20% 향상 - 바이오 에어로졸의 하전효율 80% 이상 2. 연구내용 및 범위 ○ 항균 에어필터의 성능 향상을 위한 이온 부가 기술 - 정전분무 등을 활용한 공기이온 발생 - 전기적 이온 발생이 천연물질/나노물질의 에어로졸 발생 특성에 미치는 변화율 평가 - 이온 농도에 따른 천연물질/나노물질의 필터 도포 특성 및 부착력 증가율 평가 ○ 정전분무 등 이온 활용 바이오 에어로졸의 하전 및 제어효율 향상 기술 - 정전분무 등을 활용한 바이오 에어로졸의 하전 3. 특기사항 ○ 에어로졸 및 바이오 에어로졸에 대한 연구 경험 필요 4. 총연구비 및 연구기간 정부 2억원 내외(당해년도 4천만원 내외)/‘09~’13(5년) RFP 번호 2 과 제 명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상온 분해 촉매 반응 기구 연구 1. 연구목표 ○ 이산화망간(MnO2) 기반의 상온 VOC 산화분해 촉매 개발을 위한 촉매의 물리화학적 특성 평가, 반응기구(mechanism) 규명, kinetic 해석, 피독 현상 규명, 촉매 성능 평가 기법 개발 - 분해 성능 범위: 90 % 이상 - 처리온도 범위: 20 ~ 60 ℃ - 적용 물질: 툴루엔, 벤젠, 포름알데히드 등 2. 연구내용 및 범위 ㅇ 촉매 성능과 물리화학적 특성간의 연관관계 규명 - 세공크기, 표면적, 입자크기 분포, 표면특성, 결정구조, 입자형태에 따른 VOC 분해 성능 연관 연구 ㅇ In-situ 실험을 통한 반응 기구 규명 - TPR, TPD 및 in-situ IR 등을 이용한 반응기구 규명 - 화학흡착을 이용한 활성점 연구 - 반응 kinetics 연구 ㅇ 고속 성능 기법을 활용한 다성분 촉매 성능 평가 기법 확립 - 다성분 나노촉매의 primary screening 성능 분석 기법 개발 - 다중 채널 마이크로 반응기를 이용한 고속 VOC 분해 성능 평가 - 고성능 나노촉매 물질 선정 ㅇ 촉매 피독 현상 규명 - 반응물농도별 촉매 장기 성능 평가 - 피독물질에 따른 성능 저하 영향 평가 ㅇ 하이브리드형 촉매 반응 기구 연구 - 다종 반응물 존재 하에서 성능 영향 평가 - 촉매-plasma, 촉매-UV 등을 이용한 하이브리드형 촉매 시스템 반응기구 연구 3. 특기사항 ○ 촉매를 이용한 실내환경 중 VOC 산화분해 반응에 대한 연구 경험 필요 4. 총연구비 및 연구기간 정부 2억원 내외(당해년도 4천만원 내외)/‘09~’13(5년) RFP 번호 3 과 제 명 감염성 미생물 전파경로 예측기술 개발 1. 연구목표 ○ 밀폐공간 내 감염성 질환의 발생 가능성 평가 ○ 감염성 질환의 전파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 정립 2. 연구내용 및 범위 ○ 밀폐공간 내 감염성 질환의 발생 가능성 평가 - 인체 배출 부유 미생물의 성분 및 특성 평가 - 부유 미생물의 감염 가능성 평가 ○ 감염성 질환의 전파경로를 분석할 수 있는 수학적 모델 정립 - 객실내 부유 미생물의 전파 경로 모델링 - 객실내 감염병 전파 양상 파악 - 부유 미생물의 위해성 통합 평가 및 예측 방법론 정립 3. 특기사항 ○ 예방의학 전문가 참여 필요 4. 총연구비 및 연구기간 정부 2.5억원 내외(당해년도 5천만원 내외)/‘09~’13(5년) RFP 번호 4 과 제 명 실내유해미생물 정밀감지장치 개발 1. 연구목표 ○ CE-SSCP 기술을 기반으로 연속적으로 공기 중 유해성 생물학적 에어로졸을 검출 및 정량 가능한 초소형 시스템 개발 - 공기 중 미생물 검출농도 : 1 × 102 cfu/m3 이하 - 연속측정시간 : 7일 이상 - 동시 검출 가능 미생물 수 : 중요 호흡기 감염 미생물 4종 이상 (Legionella pneumophilia, Yersinia pestis, Streptococcus pyogenes, Enterobacter cloacae 등) 2. 연구내용 및 범위 ○ PCR 및 CE-SSCP 모듈 개발 - 분석대상균주의 측정 및 정량이 가능한 CE-SSCP 마이크로칩 개발 - 마이크로칩 상에서 기능하는 Multiplex PCR 수행을 통한 목표 균주 동시 증폭기술 개발 ○ Cell lysis 모듈 개발 - 대상 균주에 대한 70% 이상의 lysis 효율 획득 ○ 에어로졸 포집 모듈 개발 - 0.5~5 μm 크기의 공기 중 호흡기 감염 미생물의 포집능력 극대화 3. 특기사항 ○ 미생물 다중 정량 측정 관련 기술 필요 4. 총연구비 및 연구기간 정부 3억원 내외(당해년도 6천만원 내외)/‘09~’13(5년) RFP 번호 5 과 제 명 플러그인 센서/액튜에이터 기반 실시간 피드백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 개발 1. 연구목표 ○ 자동설정 가능한 플러그인 공통 센서플랫폼 및 피드백제어 알고리즘이 결합된 센서/ 액튜에이터 기반 실시간 피드백 제어 네트워크 시스템 기술 개발 - 공통플랫폼 플러그인 센서 종류 : 가스센서 4종 이상 - 센서/액튜에이터간 피드백 제어 최대응답시간 : 2초 이내 - 상시 동작 대비 전력 절감 : 30% 이상 2. 연구내용 및 범위 ○ 플러그인 센서모듈 자동 인식 및 설정 기술 개발 - 플러그인 센서모듈의 자동인식 및 설정이 가능한 공통플랫폼 개발 - 센서 신호 특성 자동 인식 및 설정 기술 개발 ○ 피드백 센서/액튜에이터 네트워킹 기술 개발 - 센서, 정화기의 피드백 최적제어 기술 개발 - 무선센서/액튜에이터망 모델 개발 (멀티센서, 멀티액튜에이터, 서버모델) - 공기질 모니터링/제어망 메시지 규격 개발 - 무선통신기반 sensor/actuator 네트워크 모델 개발 ○ 실시간/저전력 스마트 네트워크 기술 개발 - 실시간 통신 프로토콜 기술 개발 - Context-aware 기반 지능형 저전력 기술 개발 3. 특기사항 ○ 센서네트워크 및 피드백 제어 알고리즘 연구 경험 필요 4. 총연구비 및 연구기간 정부 1.8억원 내외(당해년도 3.5천만원 내외)/‘09~’13(5년) RFP 번호 6 과 제 명 전열교환 고분자 신소재 성능평가 및 초고효율 환기시스템 최적설계 1. 연구목표 ○ 전열교환 고분자 신소재 성능평가 시스템 구축 및 성능평가 ○ 초고효율 전열교환 엘리먼트 코어의 최적 설계 및 성능평가 ○ 슈퍼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설계 및 운전방안 제안 2. 연구내용 및 범위 ○ 고분자 신소재의 화학조성에 따른 성능평가 시스템 구축 및 성능평가 - 고분자 신소재의 화학조성에 따른 성능평가 시스템 구축 - 관련규격 : 열전달계수(ISO 10051), 습도전달계수(ISO 5637), 인장강도(KS A 1055), 탈취성능평가(KS B 6870, 악취공정시험방법), 투기도(ISO 5636-5), 투습도(KS K 0594) - 성능평가 : 열전달율, 투습율, 실용인장강도, 탈취, 항균, 제습 등 ○ 초고효율 전열교환 엘리먼트 코어의 형상설계 및 성능평가 - 형상(pitch, height) 및 재질(고분자신소재 화학조성) 변화에 따른 성능평가 - 성능평가 : 온도교환효율, 습도교환효율, 전열교환효율, 압력손실, 제습, 탈취, 항균 - 형상 및 물성치 특성 규명을 통한 엘리먼트 코어 형상의 최적설계 ○ 슈퍼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설계 및 운전방안 제안 - 초고효율 엘리먼트를 이용한 슈퍼 전열교환 환기시스템 성능평가 및 개발 - 초고효율 엘리먼트 코어의 신뢰성 테스트 및 설계용 DB 구축 - 성능평가 : 온도교환효율, 습도교환효율, 전열교환효율, 누기율, 결로, 에너지계수 등(KS B 6879) - 외부환경변화에 따른 환기시스템 운전방안 제안 3. 특기사항 ○ 전열교환 환기장치 성능평가 설비 보유 4. 총연구비 및 연구기간 정부 3.5억원 내외(당해년도 7천만원 내외)/‘09~’13(5년)
2009년도 하반기 Star PostDoc. 초빙안내
2009년도 하반기 Star PostDoc. 초빙안내<?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산실인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세계 수준의 연구소로 발전한다는 목표아래 중점연구분야의 원천기술개발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이에, 아래의 중점연구분야에서 함께 일하실 연구개발 창의력과 참신한 아이디어를 가진 Star PostDoc.을 초빙합니다. 1. 응모자격 가. 국내 대학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2년 미만인 자 나.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다.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한 자(군면제 포함)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2. 모집직종 박사후 연구원(PostDoc.) - 1년단위계약(최장 3년까지 가능) 3. 급여 및 복지후생 - 연봉 4,800만원 수준(월 400만원) - 4대보험 및 퇴직금 지급 - 정기건강검진 실시 - 독신이면서 지방거주자인 경우 기숙사 입주권 부여 가능 (경기도 거주자 제외) 4. 전형방법 - 1차 : 서류심사 - 2차 : 면 접(서류심사 합격자에게 개별통보) 5. 채용분야 모집분야 세부분야 채용예정 인원 신경과학 (Neural Science) ○ 신경생물학 (Neurophysiology, Neuroimaging, Computational neurobiology, Molecular neurobiology 포함) http://cns.kist.re.kr 각분야별 약간명 나노전산모사 (Computational Nanoscience) ○ 양자역학이송론, 제일원리계산, 분자동역학 (Quantum Transport Calculation, Ab-initio Calculation, Molecular Dynamics Simulation) ○ 폴리머의 나노구조 형성 및 응용 (Nanostructured surface of polymer materials) 나노소자 (Nano-devices) ○ 나노재료/나노소자 및 공정 (Materials and their processing for nano-devices) - Nanobuilding blocks and their control - Design and fabrication of nano-devices ○ 스핀소자 설계 및 공정 (Design and Fabrication of Spin Devices) - Spin Transfer Torque Technology - Spin Memory Device 태양전지 (Solar Cell) ○ 염료감응 또는 유기폴리머 태양전지 (Dye-sensitized or Organic Polymer Solar Cells) ○ 제4세대 태양전지(양자점, 나노구조, plasmonics 등) (Future Generation Solar Cells) ○ 레이저 분광분석 관련 설계 및 해석 (Laser Spectroscopic-related Research Field) http://dssc.kist.re.kr 고체산화물 연료전지 (Solid Oxide Fuel Cell) ○ 고온 고체전기화학/고체이온공학 (<?xml:namespace prefix = st1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smarttags" /> High Temperature Solid State Electrochemistry/Solid State Ionics) ○ 고온 전극촉매/촉매화학 (High Temperature Electrode catalyst/catalytic chemistry) 차세대 반도체 (Next Generation Semiconductor) ○ 산화물반도체 소재 및 소자 응용 (Oxide semiconductor materials and device application) 기능성 재료 (Functional Materials) ○ 고분자 복합 재료 (Polymer Hybrid Materials for Functional Application) ○ 다층 박막 재료( Multilayer Thin Film Materials ) 구조용 재료 (Structural Materials) ○ 생체구조용 재료(Structural Materials for Bio Application) ○ 구조용 재료 설계(Material Design for Structural Application) 인간-컴퓨터 상호작용 (Human Computer Interaction) ○ 내츄럴인터페이스(Natural interface) 및 혼합 현실 (Augmented reality) ○ 인지로봇(Cognitive robotics) 및 지능형 소프트웨어 (Intelligent software) ○ 신재생에너지/에너지변환기기 및 센서 액츄에이터 기술 (Renewable energy/energy transformation devices and sensor/actuator) 바이오 테크놀로지 (Biotechnology) ○ 의약화학(Medicinal Chemistry, Pharmacology, Toxicology) ○ 오믹스(Proteomics, Bioinformatics, Metabolomics) ○ 의과학(Molecular Imaging, Biomaterials) http://www.kist.re.kr/iv/li.jsp 신에너지 (Sustainable New Energy) ○ 연료전지 (Fuel Cell) http://fuelcell.kist.re.kr ○ 이차전지 (Secondary Battery) http://www.kist.re.kr/iv/en_ba_in.jsp ○ 청정기술 (Clean Technology) http://greenchem.kist.re.kr/ 환경기술 (Environmental Technology) ○ 수처리기술(Water Treatment) ○ 유해물질처리(Hazardous Substance Treatment) 6. 제출서류 - 지원서, 자기소개서, 학위논문요약서 각1부 - 대학이상 성적증명서 각 1부 - 박사학위 논문 지도교수 또는 심사위원으로부터의 추천서 1부 7. 접수기간 및 접수처 가. 접수기간 : 2009. 7. 3 (금) ~ 2009. 7. 31 (금) 18:00 까지 (우편 또는 방문 접수, 마감일 KIST 도착분에 한함) 나. 접수처 (136-791) 서울특별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번지 KIST 학연협력실 Star PostDoc. 담당자앞 ※ 문의사항은 starpodoc@kist.re.kr로 하시기 바랍니다. 8. 기타사항 가.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나. 증명서류 등이 허위로 판명되는 경우 합격을 취소할 수 있음 다. 모든 개별연락은 이메일을 통할 예정이니, 수신가능한 메일주소를 기재할 것 (hotmail.com 계정은 호환이 곤란함)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 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