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2224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전자조달시스템 모의시범운영 안내
우리원은 내.외자구매, 공사.용역입찰 등 조달업무의 효율성.투명성 및 공정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전자조달시스템을 구축하였으며 오는 11월부터 운영할 계획입니다. 본격적인 전자조달시스템 운영에 앞서 시행착오를 줄이고 업체 여러분의 이해를 돕기 위해 10월중 전자조달시스템 모의시범운영을 시행하고자 하오니 많은 참여를 통해 불편사항이나 개선사항에 대한 의견을 주심으로써 성공적인 전자조달시스템 운영에 적극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모의시범운영에 참여하시고자 할 경우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전자조달시스템 웹사이트를 참조하시기 바라며 10월중 일정기간 동안 입찰, 역경매, 구매견적 등 모의입찰(모의전자계약 포함)을 실시할 예정이오니 관심 있는 구매 및 공사.용역 건을 임의 선정하여 참여하시면 되겠습니다. 아울러 전자조달시스템 운영에 대한 외부이용자 설명회를 아래와 같이 실시하고자 하오니 관심 있는 업체의 많은 참석을 부탁드립니다. 제목: 전자조달시스템 외부이용자를 위한 설명회 내용: 구축된 전자조달시스템 전반에 대한 시연 및 질의응답 일시: 2005년 10월 11일(화) 오후 2시 장소: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국제협력관 제1회의실 기타 문의는 아래로 연락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내자구매: 구매관리팀 김종욱 (02-958-6303) 외자구매: 구매관리팀 문영호 (02-958-6256) 공사.용역: 재무팀 안성진 (02-958-6093)
정보 · 보안 IT 인프라 구축사업(서버 구매) 공개 입찰
물품 구매 입찰 공고(긴급) 녹색기술센터에서는「정보보안 IT 인프라 구축」관련 (납품)사업을 수행할 기관을 선정하고자 첨부와 같이 공고하오니 적극적으로 참여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2015. 6. 23. 녹색기술센터 소장 참조 : http://www.gtck.re.kr/frt/center/news/noticeEvent.do?pageMode=View&nttId=3820 첨부 1. 입찰공고문 첨부 2. 제안요청서(RFP)
정보통신팀 별정직(기간제) 공개채용
정책세미나 안내 (김정욱 전 고등과학원 원장)
이번 정책세미나에서는 김정욱 전 고등과학원 원장님을 모시고 "초보자를 위한 현대 우주론"이라는 주제로 세미나를 개최하게 되었습니다. 동 세미나에서는 우주론의 중추가 되는 초 폭발이론, 암흑 에너지 이론 등이 알기 쉽게 다루어질 예정입니다. 강연의 초록을 첨부하오니 참고하시길 바라며, 관심 있는 직원 여러 분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시간: 2004년 7월 9일 금요일 오전 10:30-11:30 장소: 국제회의실 강사: 김정욱 박사 (전 고등과학원 원장) ------------ 강연 초록 -------------- KIST 연구원들에게 교양강의로서 순수학문인 우주론의 이야기를 하고자 한다. 연구라는 것이 다양하다는 것을 알리고 동시에 기초의 중요성도 강조 하고자 한다. 우주론의 중추가 되는 초 폭발이론(Hot Big Bang theory)의 초보적인 서론부터 시작하여,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우주에 관한 간단한 설명과, 초 폭발 이론의 증거 및 몇 가지 문제점들을 논한다. 또한 140억 년의 우주역사를 간략하게 살펴본 후, 최근의 관측에서 발견된 놀라운 우주의 암흑 에너지(dark energy) 에 대해서 강의하고자 한다. Dark energy의 발견은 기초과학 역사상 가장 중요하고 신비스러운 것이며, 주로 세 가지 관측에 의해서 확인되었다. 물질의 직접, 간접적인 관측, 우주빅뱅의 화석이라고 불리는 우주배경복사와 아주 멀리 떨어져있는 초신성의 관측이 바로 그것들이다. 바로 지난달에는 X-선 관측에서도 검증이 되었다. 이들 관측에 의하면 현재 우주를 구성하고 있는 물질은 27%에 지나지 않으며, 나머지 73%가 바로 dark energy 로 되어 있다는 것이다. Dark energy 는 아인슈타인이 1917년에 가정한 우주상수로 설명할 수 있는데, 이 암흑 에너지 때문에 우주의 팽창률이 빅뱅이론에서 예측했던 감속이 아니라 가속이 되고 있다는 놀라운 사실이 알려진 것이다. 아인슈타인 의 우주상수 설명이외의 다른 설명도 있다. 이 강의에서는 암흑 에너지의 발견 및 중요성을 알기 쉽게 설명하며, 우리가 살고 있는 이 시점이 바로 암흑 에너지를 관측하기에 가장 좋은 시점이라는 놀라운 사실도 소개한다.
제 10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안내
제 10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안내 •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 제 10회 시상은『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국내의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산업체 등에서 재직 또는 근무하고 있는 40대 전후의 연구자로써, 나.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에 관한 연구업적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다.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 2. 시상인원 : 1 인 3. 시상내용 :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4. 제출서류 : 추천서 및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증빙자료 5. 추천서 접수 : 2007. 12. 28(금)까지, E-mail 접수 가능 6. 접수처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E-mail : jhl@kist.re.kr) 7.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8. 시상일 및 장소 : 2008.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 11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 안내
•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 제 11회 시상은 『신소재개발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국내의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산업체 등에서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 하고 있는 40대 전후의 과학기술인으로서, 나.세계정상 수준의 신소재개발 연구를 하였고, 단일 연구성과에 대한 연구과정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룩된 연구업적을 범위로 하며 다.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기술인 2. 시상인원 : 1 인 3. 시상내용 :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4. 제출서류 : 추천서 및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증빙자료 5. 추천서 접수 : 2008. 12. 31(수)까지 아래 접수처로 하며, E-mail 접수 가능 6. 접수처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E-mail : jhl@kist.re.kr) 7.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8. 시상일 및 장소 : 2009.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 12회 미래기술포럼
제 12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 안내
제 12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 안내 <?xml:namespace prefix = o ns = "urn:schemas-microsoft-com:office:office" />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 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제12회 시상은 『신소재개발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국내의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산업체 등에서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 하고 있는 40대 전후의 과학기술인으로서, 나.세계정상 수준의 신소재개발 연구를 하였고, 단일 연구성과에 대한 연구과정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룩된 연구업적을 범위로 하며 다.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기술인 2. 시상인원 및 내용 ○ 1명,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3. 제출서류 : ○ 추천서(소정양식) 1부 ○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및 증빙자료 - 추천서 양식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st.re.kr) 에서 다운로드 4. 신청 및 접수처 : ○ 신청기간 : 2009. 12. 31(목)까지 ○ 접 수 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 김병직(☏02-958-6103)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5.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6. 시상일 및 장소 : 2010년 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 13회 송곡과학기술상 후보자 추천 안내
제 13회 송곡과학기술상 후보자 추천 안내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 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제13회 시상은 『신소재개발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국내의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산업체 등에서 연구개발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과학기술인으로서, 나.세계정상 수준의 신소재개발 연구를 하였고, 단일 연구성과에 대한연구과정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룩된 연구업적을 범위로 하며 다.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기술인 2. 시상인원 및 내용 ○ 1명,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3. 제출서류 : ○ 추천서(소정양식) 1부 ○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및 증빙자료 - 추천서 양식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st.re.kr)에서 다운로드 4. 신청 및 접수처 : ○ 신청기간 : 2011. 1. 14(금)까지 ○ 접 수 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관리팀 이바다(☏02-958-6078)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5.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6. 시상일 및 장소 : 2011년 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제 14회 송곡과학기술상 후보자 추천 안내
제 14회 송곡과학기술상 후보자 추천 안내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 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정책 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제14회 시상은 『과학기술정책‧관리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민간업체 등에서 연구개발 및 정책관리 업무에 종사하고 있는 연구자로서, 나. 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에 관한 연구업적의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다. 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과학기술인 2. 시상인원 및 내용 ○ 1명,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3. 제출서류 : ○ 추천서(소정양식) 1부 ○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및 증빙자료 - 추천서 양식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터넷 홈페이지(http://www.kist.re.kr)에서 다운로드 4. 신청 및 접수처 : ○ 신청기간 : 2012. 1. 6(금)까지 ○ 접 수 처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 이바다(☏02-958-6078)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5.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6. 시상일 및 장소 : 2012년 2월 /한국과학기술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