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079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2020년 인권영향평가 결과보고서
2020년「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 선정
<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팬데믹<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확산과<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K-<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진단<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등<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코로나<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19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이슈에<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압도적<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관심<span class="s1" style="font-variant-numeric: normal; font-variant-east-asian: normal; font-stretch: normal; line-height: normal; 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helvetica="" neue";="" font-size:="" 14pt;"=""> <span style="font-family: 나눔고딕코딩, NanumGothicCoding, sans-serif; font-size: 14pt; color: rgb(0, 0, 0);" apple="" sd="" gothic="" neo";="" font-size:="" 14pt;"="">쏟아 - 온라인 국민 투표 1만 5,332명 역대 최다 참여 - 사회 과제 해결 뛰어든 과학기술 향한 기대와 역할 재조명된 한 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회장 이우일, 이하 과총)가 2020년 ‘올해의 10대 과학기술 뉴스’(이하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발표했다. 과총은 ①세 차례의 선정위원회(위원장 한민구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원장 외 24명) 심의와 ②과학기술계와 일반국민 총 15,332명이 참여한 온라인·모바일 투표 결과를 반영하는 등 최종 심의를 거쳐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선정했다고 밝혔다. 과총은 과학기술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높이고자 ① 한 해의 주요 연구개발 성과와 ② 사회적으로 주목 받은 과학기술 이슈로 구성된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2005년부터 매년 선정·발표하고 있다. 선정 과정에는 과학기술계 전문가 의견과 국민 관심도를 고루 반영하기 위해 전문가로 구성된 선정위원회 심의와 온라인·모바일 투표를 병행하고 있다. 특히 올해 국민 투표에는 역대 10대 과학기술 뉴스 선정 사상 가장 많은 인원*이 참여해 과학기술에 대한 높아진 관심을 드러냈다. 또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코로나19) 관련 뉴스가 74.5%의 압도적인 득표율을 기록하며 전 세계를 뒤흔든 코로나19가 국내 과학기술계에도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줬다. * 온라인 모바일 투표 참여 : 2018년 7,831명 → 2019년 9,119명 → 2020년 15,332명 2020년 10대 과학기술 뉴스에는 ‘과학기술 이슈’ 4건과 ‘연구개발 성과’ 6건이 선정됐다. ‘과학기술 이슈’ 부문 뉴스로는 ▲코로나19 세계적 대유행 속 발 빠른 K-진단키트 ▲‘디지털·친환경’ 뉴 패러다임이 이끈다 ▲월성 1호기 영구 정지 결정 논란 ▲2050 탄소 중립 선언 등 4건이 선정됐다. ‘연구개발 성과’ 부문 뉴스로는 ▲세계 최소 셀 사이즈 극복한 3세대 10나노급 D램 개발 ▲수소전기 대형트럭 세계 최초 양산 ▲한국 KSTAR 1억℃ 20초 유지, 세계 신기록 달성 ▲세계 최초 코로나19 유전자 지도 완성 ▲파킨슨병, 치매 뇌질환 관여하는 미토콘드리아 기전 규명 ▲스텔스 기능에 전자파까지 차단 가능한 물질 개발 등 6건이 선정됐다. 과총은 “올해로 16년을 맞은 ‘10대 과학기술 뉴스’ 선정에 그 어느 때보다 국민투표 참여가 높았다. 후보에 오른 뉴스들을 살펴보면 압도적인 관심을 받은 코로나19 이슈를 비롯해 수소경제, 탄소중립, 기상이변 등 우리 사회의 굵직한 어젠다가 과학기술 뉴스로 주목받았다. 이는 팬데믹 위기 속 과학기술이 재조명되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이끌 국가 핵심 동력으로서의 기대를 드러낸 부분이라고 평가된다. 유난히 힘들었던 2020년, 10대 과학기술 뉴스를 통해 한 해의 과학기술계를 돌아봄과 동시에 연구개발 현장을 격려하고 국민에게 희망을 전하는 계기가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2021 서울 과학기술 포럼(Seoul S&T Forum) 개최
-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연구 패러다임 전환’ 주제 - 과학기술을 통한 지구적 현안 해결 논의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2021년 11월 2일(화), 서울 더 플라자호텔에서 ‘2021 서울 S&T 포럼’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임혜숙) 후원으로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 이사장 김복철)가 주최하고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 과학기술정책연구원(STEPI, 원장 문미옥)이 공동 주관한 이번 포럼은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대비하기 위한 연구 패러다임 전환’을 주제로 출연(연) 및 글로벌 커뮤니티 국내외 전문가의 데이터 기반 R&D에 대한 지식을 공유하고 그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초점을 맞췄다. 행사는 온·오프라인을 병행해 개최되었다. 행사장에는 50여명의 국내연사 및 주요 내빈이 참석했고, 해외연사들과 국내외 청중들은 유튜브 채널을 통해 온라인으로 참석했다. 기조연설에서는 영국 러더포드 애플톤 연구소의 수석 데이터 과학자 Tony Hey 박사가 ‘과학을 위한 A.I.: 과학 연구의 변혁’이라는 주제로 AI 및 머신 러닝 기술의 적용이 과학기술 분야에 미칠 영향에 대해 발표했다. 이어서 KIST, STEPI, KISTI, KAIST 등 국내 출연(연) 및 미국 UC Berkeley, 일본 물질재료연구기구(NIMS) 전문가들의 데이터 기반 R&D 정책, 스마트랩 환경 구축 등에 대한 발표와 종합 토론이 진행됐다. NST 김복철 이사장은 개회사를 통해 “최근 연구 형태는 데이터 중심으로 전환되고 있으며, 이는 비용과 시간을 절감시켜줄 뿐만 아니라 새로운 도전을 위한 기회를 제공한다.”라면서, “이번 포럼을 통해 데이터 중심 연구개발 발전 방향을 수립하고, 나아가 글로벌 난제 해결에도 기여할 수 있기를 바란다.”라고 당부했다. KIST 윤석진 원장은 환영사에서 “기후변화나 감염병과 같은 범지구적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선 다양한 분야의 데이터를 융합, 분석해야만 해결할 수 있다.”라며, “이번 포럼이 데이터 기반 R&D의 가능성과 활용전략 탐색의 지혜와 경험을 향유하고, 해당 분야 발전의 길잡이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원한다.”라고 밝혔다. STEPI 문미옥 원장은 폐회사에서 “이번 포럼에서 논의된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연구개발 수행 및 관리, 정책기획 등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생태계 활성화의 노력과 방향성”에 대해 언급하였고, 앞으로 “여러 정부출연연구기관과 함께 과학기술혁신을 위한 데이터 기반 연구개발 생태계를 안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올해로 8회를 맞는 본 포럼은 지난 2010년 서울에서 개최된 G20 정상회의를 계기로 시작되어, 출연(연) 및 국내·외 과학기술 연구·정책 분야 리더, 국제기구, 정부 담당자 등이 참여하여 과학기술을 통한 지구적 현안 해결을 논의하는 장(場)이 되어왔다.
2021년 11월 원장 업무추진비
2021년 11월 원장 업무추진비<a href="http://www.kist.re.kr/masterpage/cms/?cate=3&sub_num=4143&recom=13&state=view&idx=5173" style="margin: 0px; padding: 0px; font-family: 돋움, dotum, Arial, " trebuchet="" ms",="" helvetica,="" sans-serif;="" color:="" rgb(102,="" 102,="" 102);="" text-decoration-line:="" none;=""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