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07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당해 퇴직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24년 2월 퇴사자 김건희 입니다. 올해 연말정산을 위한 당해 근로소득원천징수영주승 발급 부탁드립니다. 담당자에 문의 시, 아래와 같은 답변을 받으며 발급 거부 당하였습니다. * 담당자 메일 내용 : ------------------------------------------------------------------------------------------------------------------------------------------------------------ 2024년꺼 근로소득 원천징수는 2025년 2월 정도에 세무서 신고하고 그 이후에 최종적으로 직인 찍힌 영수증이 나옵니다. "근로소득 원천징수영수증"으로 신청하셔서 데이터 오류가 떴던 것 같습니다. 올해 1,2월 소득에 대한 증빙 알아보니, 갑종근로소득에 대한 소득세원천징수증명서로 해야된다고 해서 발급해서 드립니다. 귀찮아서 안해드린게 아니니 참고 바랍니다. -------------------------------------------------------------------------------------------------------------------------------------------------------------- 관련 소득세법에 따르면 '다만, 해당 과세기간 중도에 퇴직한 사람에게는 퇴직한 날이 속하는 달의 근로소득의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발급하여야 하며, 일용근로자에 대하여는 근로소득의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발급하여야 한다" 라는 조항이 있습니다. 회사에서는 근로소득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발급이 "의무"입니다. * 소득세법 -------------------------------------------------------------------------------------------------------------------------------------------------------------- [시행 2023. 1. 1.] [법률 제19196호, 2022. 12. 31., 일부개정] 제143조(근로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영수증의 발급) ① 근로소득을 지급하는 원천징수의무자는 해당 과세기간의 다음 연도 2월 말일까지 그 근로소득의 금액과 그 밖에 필요한 사항을 적은 기획재정부령으로 정하는 원천징수영수증을 근로소득자에게 발급하여야 한다. 다만, 해당 과세기간 중도에 퇴직한 사람에게는 퇴직한 날이 속하는 달의 근로소득의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발급하여야 하며, 일용근로자에 대하여는 근로소득의 지급일이 속하는 달의 다음 달 말일까지 발급하여야 한다. <개정 2022. 12. 31.> ② 제1항에도 불구하고 2인 이상으로부터 근로소득을 받는 사람(일용근로자는 제외한다)이 제137조의2에 따른 연말정산을 적용받기 위하여 제1항에 따른 원천징수영수증의 발급을 종된 근무지의 원천징수의무자에게 요청한 경우 그 종된 근무지의 원천징수의무자는 이를 지체 없이 발급하여야 한다. [전문개정 2010. 12. 27.] -------------------------------------------------------------------------------------------------------------------------------------------------------------- * 관련 세무상담 사례 --------------------------------------------------------------------------------------------------------------------------------------------------------------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발급방법(세무상담사례집_노동세무레시피 Q72) 작성자, 등록일 , 조회수 , 첨부파일 내용이 수록된 표 작성자 서울노동권익센터 등록일 2023.01.10 조회수 8831 첨부파일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질문) 올해 2월까지 디자인 회사에 근무하다 퇴직했습니다. 지난해 소득에 대해서는 연말정산을 하고 원천징수영수증을 받았습니다. 올해 1월과 2월 소득에 대한 원천징수영수증은 어떻게 발급받을 수 있나요? (답변) 근로자가 연도 중에 퇴사한 경우 일반적으로 회사는 중도퇴사일까지의 급여를 정산해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근로자에게 교부해야 합니다. 2월 중에 퇴사했다면, 그해 1월부터 2월 퇴사시까지의 급여에 대하여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회사에 요청해 받을 수 있습니다. 원천징수영수증은 원천징수의무자인 사업주나 회사입장에서는 지급명세서라고도 하며, 회사는 한 해의 계속 근무자 및 중도 퇴사자의 총 급여지급액에 대하여 연말정산해 다음 해 3월10일 까지 세무서에 제출하도록 되어 있습니다. 참고로 중도 퇴직후 동일한 해에 재취업하여 근로소득이 추가로 발생했다면 두 직장에서 받은 근로소득을 합산해 연말정산하거나 종합소득세 신고기간 내에 직접 합산해 신고해야 합니다 -------------------------------------------------------------------------------------------------------------------------------------------------------------- 이제까지 다른분들의 내역들을 보면 다른 퇴직자분들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을 발급받지 못하였는데, 절차가 이해되지 않습니다. 또한, 발급이 불가하다고 하셨는데, 현 직장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출신 빼고는 모두 "당해 근로소득 원천 징수 영수증" 을 발급받아 제출한 상황입니다.. 기존 루트대로 절차가 불가능하다면, 가능한 절차를 알아보시고 의무인 원칭영수증을 발급해주시는게 맞지 않을까 싶네요
!!!!!!!!!!!!!!!!!당해 퇴직자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 발급 부탁드립니다 !!!!!!!!!!!!!!!!!!!!!!!!!!
퇴직자 분들의 2024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은 2025.1.14. 이후에 발급가능(현재 KIST 연말정산 시스템 '월급날'에서 연말정산자료 넘기기 준비 중)합니다. 퇴직 이후에도 추가 소득이 발생하는 경우가 많아 근무년도 익년 1월에 재직자+퇴직자 같이 정산을 진행하고 있으니 양해 부탁드리겠습니다. 2025년 1월 14일 이후 2024년도 근로소득원천징수영수증이 필요할 경우 아래 링크를 첨부드리오니 서식 작성 후 서명하시어 안내문의 담당자 이메일로 제출 부탁드립니다. https://kist.re.kr/ko/notice/general-notice.do?mode=view&articleNo=6279&article.offset=0&articleLimit=10
"더 나은 세상 만들겠다"...KIST 스쿨 졸업생 향후 계획은?
[인터뷰]김백선·백수지·아미르 이크발·정소현·최대일 연구원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466d96f-cbc1-4f57-b390-6a97dec0a68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118e6f8-43d0-49fe-9ca8-6985b525e98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도톰한 점퍼를 벗기엔 아직 추운 2월 말, 찬 날씨와 팬데믹으로 조용했던 KIST가 오랜만에 활기를 찾았다. 너나 할 것 없이 손에 들려진 꽃다발에 이른 봄기운이 느껴지는 이곳은 KIST 스쿨 졸업식 현장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4193576-fbb2-4a61-8a78-40c324c3caf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5562ace-2cda-4b98-a2a7-c23a75f74ef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 스쿨 졸업식이 지난 2월 25일 KIST 본원에서 열렸다. 올해 졸업한 학생을 28명이다. 졸업생들은 KIST에서의 연구경험을 살려 기업, 대학, 출연연 등에서 연구 활동을 이어나간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6b6fe40-0c2c-4388-9049-c7a8d6e89f6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f7b5076-f275-45ba-acdd-e9db700a25d9"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국가 미래 성장 동력에 필요한 원천기술 개발 및 R&D를 수행하는 KIST는 오랜 역사와 연구개발 노하우를 기반으로 KIST 스쿨을 출범시켰다. KIST 스쿨 목표는 과학기술 연구 분야 미래 글로벌 리더 육성이다. 현 재학생은 총 00명으로 연구현장 최일선에서 뛴 만큼 실전에 더 강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86d0e4e-f86d-4b8c-a878-fd6725a7fcb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교실 안 수업에서 벗어나 기초·원천·공공 부문의 대형 국책프로젝트에 직접 참여하며 연구현장에서 역량을 발휘한 KIST스쿨 학생들은 기업, 대학, 출연연에서 연구생활을 이어간다. "KIST 경험을 살려 과학기술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고 싶다"며 포부를 전한 5명의 졸업생을 만나봤다. KIST 경험, 도전적인 삶 큰 교훈줬죠 아미르 이크발 연구원 "교수가 되어 나만의 연구실을 만들고 미래를 위한 후학을 양성하는 것이 꿈입니다. 해외교류 및 협력이 활발한 KIST와 앞으로 상호협력하며 윈-윈할 날을 기대합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90e3753-a563-4fbb-84fc-6f55fd31ef9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8b5b3ce-33a6-44c8-a033-402720a3751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아미르 이크발 연구원은 신개념 전자파 차폐소재 '맥신' 성능을 극대화해 2020년 사이언지에 제1저자로 논문을 게재한 연구자다. 5년간 KIST 스쿨에 몸담은 그는 올해 졸업장을 품에 안게 됐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cffffcd9-105c-4c35-b7b4-89682649add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3cacac8-ebac-4afe-9233-84eff6e49b9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파키스탄 출신인 그는 전자통신기술의 발전에 방해가 되는 전자파를 막기 위한 소재에 관심을 가지고 연구에 뛰어들었다. 우리가 자주 쓰는 휴대폰, 노트북 등 전자기기 속 전자회로는 전자파를 발생시킨다. 전자파 간섭이 일어나면 다른 기기나 시스템 동작에 장애를 일으킨다. 전자기기가 점점 작아지면서 부품 간 간격이 좁아지며 전자파가 교란이 더욱 문제가 되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그는 KIST에서 전자파를 흡수할 수 있는 소재를 연구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3f958be-d265-4127-877c-bb1dbf7ff08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313cb6d-5f28-4b4e-aca3-9fd0f80da25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아미르 이크발 연구원은 KIST에서 연구하며 함께 웃고 울던 동료들과의 시간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그는 "지난 5년이 다 소중하지만 EMI차폐특성이 뛰어난 참신한 소재를 발견한 날을 잊지 못한다. 지도교수인 구종민 박사와 함께 물질 특성 조사를 위해 몇 년을 보냈고 논문을 실었다"며 "쉽지 않은 과정이었지만 동료들과 지도교수가 큰 힘이 되어줬다. 이 연구는 나에게 박사학위뿐 아니라 도전적인 삶에서 성공적인 커리어를 쌓고 배울 수 있는 큰 교훈이 되었다"며 지난날을 돌아봤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1812637-d0af-4e42-b206-881913b41c7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5602bf5-9a36-4d65-8736-0954db210bf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 스쿨에서 경험을 "내 인생의 값진 선물"이라고 말하는 그는 "좋은 연구 환경은 학생연구자들에게 좋은 기회의 문을 열어줬다. 학생연구원의 정신적, 육체적 건강까지 함께 돌보는 시스템으로 KIST에 있는 동안 연구를 즐겼고 집중할 수 있었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91e9b6c-4146-416e-af27-8b9aa47b36c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KIST스쿨 졸업한 그는 성균관대학교에서 박사후 과정을 시작 할 예정이다. 그는 "내 꿈은 세계 최고의 대학에서 교수가 되어 나만의 연구실을 짓고 미래를 위한 연구원을 양성하는 것"이라며 "청정에너지, 나노소재의 에너지저장 및 변환 응용 등 연구를 하고 싶다. KIST는 해외교류 및 협력이 활발하다. 향후 KIST 연구진과도 협업하면서 좋은 시너지를 내고 싶다"고 포부를 밝혔다. <span style="font-size: 16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ligatures: inherit; font-variant-caps: inherit; font-weight: inheri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60, 63, 69);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text-align:="" justify;"=""> KIST 경험 살려 과학기술로 더 나은 세상 만들겠다 김백선 연구원 "주도적인 연구로 무한대로 성장할 수 있는 곳이 KIST라고 생각해요. 이곳에서 경험을 바탕으로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연구를 하고 싶습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b2ee515-399b-4f4e-9134-0fa9470c19a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6c15b9a4-61f1-4bcf-b064-c9ea266eb2b2"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 뇌과학융합연구단에서 약물금단관련 기전과 치료방법을 연구하는 김백선 연구원은 학부생 시절 지도교수와 KIST에 온 적이 있다. 실험실과 연구자들이 모습이 굉장히 인상 깊게 남았던 그는 KIST 스쿨을 선택했고 박사학위를 취득해 올해 졸업장을 수여받았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75c7498e-e6ce-4bf9-ae72-a5d64ec02547"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c52b160-05c8-416e-b7cd-1e3ef88a93b2"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석사 때 생물학을 공부한 그는 KIST에서 전공분야를 살릴 수 있는 연구를 고민하다 약물금단연구를 접하게 됐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634967d-4f92-4b39-851b-d39f1fff272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a2d7bc3-0b44-40b3-ab95-39577ccebc95"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김 연구원은 "약물에 중독된 사람은 반드시 금단현상이 나타난다. 이를 잘 연구해야 약물에서 벗어날 수 있는데 중독연구에 비해 금단연구는 많지 않더라"라며 "금단연구를 위해 분자생물학 연구 및 행동생리학 등을 더 연구했다. 여기에 전공인 생물학까지 활용할 수 있어 적성에 맞는 연구라 생각했다"며 연구에 매진하게 된 이유를 설명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122415d-029a-4d51-a32f-a820416c2e45"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456f119-3608-40c1-841f-90a6d851a2a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에서 연구하며 2편의 논문을 낸 그는 가장 기억에 남는 연구로 ‘약물 금단에 대한 치료표적과 진단방법 연구’를 꼽았다. 금단현상 진단 마커로 쓸 수 있는 마이크로 RNA를 발견 한 것인데, 향후 금단현상 치료와 진단 등에 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논문은 상위 3% 저널에 실린 바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2a4e971-1868-46fb-bafc-2c72a0e737d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68885f0-fb62-47f1-a929-d25246de666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는 종합연구기관으로 뇌과학, 반도체, AI, 에너지 등 다양한 분야를 연구한다. 김 연구원은 여러 연구자와 협업하고 공동 연구할 수 있다는 점을 큰 강점으로 꼽았다. 그는 "연구 도중 특정 신경세포의 활성을 측정하는 기술이 없어 고민한 적이 있다. 그 때 옆방 랩과 논의해 하루 만에 콜라보를 했고 좋은 결과를 얻었다"며 "대학연구랩과 달리 KIST는 연구실끼리 연결돼 있어 소통도 빠르고 막힌 부분을 함께 풀어가는 등 장점이 있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9e08f39-6fc0-4a53-bd8f-eb3da1eea77c"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김 연구원은 KIST스쿨은 졸업하지만 KIST에 남아 새로운 프로젝트를 추진할 계획이다. 그는 "KIST는 자유로운 분위기로 주도적인 연구를 통해 무한대로 성장할 수 있는 곳이라 생각한다. 이곳에서 다양한 연구에 도전하고 싶다"고 말했다. <span style="font-size: 16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ligatures: inherit; font-variant-caps: inherit; font-weight: inheri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60, 63, 69);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text-align:="" justify;"=""> 베일 쌓인 소뇌 연구, 뇌 질환 치료 매진하고파 백수지 연구원 백수지 연구원은 KIST 뇌과학융합연구단에서 소뇌 관련 연구를 한다. 소뇌는 과거 움직임과 운동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알려졌지만 최근 고차원적이고 복잡한 감정과도 연관이 있다는 것이 밝혀져 연구 분야가 무궁무진하다. 그는 "소뇌를 연구하는 국내 랩이 많지 않아 아쉬웠던 때 KIST에서 관련 연구를 하는 것을 알게 되었다"며 KIST스쿨을 선택한 이유를 설명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40b01b1-f049-4239-96e4-63f939ecc20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397bbbf-d06c-469e-9ba9-e2d1991b303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에 오기 전, 그는 정부출연연구원은 국내위주의 폐쇄적인 조직이라는 선입견이 있었다. 하지만 그가 속한 연구팀의 리더는 외국인 연구자고, 해외와 공동연구 등 교류 및 공유 등이 활발히 이뤄진다는 것을 느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11e4620-667b-4a1e-87f9-62a8fc8859d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3af0f05-58a5-4016-b7aa-a5d8801f73d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무엇보다 만족스러웠던 점은 체계적인 시스템이었다. 그는 "행정적 부분부터 안전까지 신경써주는 것이 느껴져 연구와 학업에 몰입할 수 있는 분위기가 KIST 스쿨의 장점 중 하나"라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3171f55f-aaaf-489e-bbac-9e739606e30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470943c-a006-4f7a-bce6-1e29223a70f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연구결과가 나오지 않아 좌절할 때도 있었지만 같은 팀 동료와 지도교수 덕에 연구에 임하는 자세, 연구를 대하는 마음을 배운 그는 졸업 후에도 KIST 남아 밝혀지지 않은 소뇌의 비밀을 풀고 뇌질환 치료 실마리를 찾을 계획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11172b9-9dd0-4172-8505-54c0a03c7e7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그는 "처음 KIST 스쿨에 가겠다고 부모님께 말씀드렸을 때 기뻐하시던 모습이 생각난다. KIST라는 좋은 연구 환경에서 다양한 경험을 통해 인류에게 필요한 좋은 연구를 하고 싶다"고 말했다. <span style="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60, 63, 69); font-family: se-nanummyeongjo, " \\b098눔명조",="" nanummyeongjo,="" serif,="" simsun;="" font-size:="" 24px;="" font-style:="" italic;="" font-weight:="" 700;="" text-align:="" center;="" white-space:="" pre-wrap;"=""> 기업에서 연구 2막 시작 “개인 맞춤의학 상용화 기여할 것 정소현 연구원 "KIST에서 연구자로서 지녀야할 큰 덕목 중 하나인 넓은 시야를 얻게 됐습니다. 사회에 나가 어떠한 연구 분야에 종사하더라도 잘 수행해낼 수 있는 능력을 얻은 것 같습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6cfac50c-0323-4e80-9b1b-37f353c6bcf9"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44c60f5-8f0b-4504-87bb-2d0ae90cb71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식품이나 의약품 등은 인간에게 안전한지 확인하는 여러 안정성 테스트를 거친다. 하지만 동물실험에 대한 규제가 점점 강해지고 있어 이를 대체할 수 있는 연구법이 필요한 상황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3d0f3f3-2109-494b-af27-6a54dff24e0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801e9d4-b353-4f70-b975-4b39918470eb"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정소현 연구원은 동물 실험 부담을 최소화할 수 있는 체외 배양 플랫폼의 필요성에 주목하고 KIST 스쿨을 통해 뇌과학연구소에 관련 연구로 학위를 받았다. 그는 콜라겐 미세섬유를 정렬할 수 있는 기술 플랫폼을 개발하고, 이를 이용해 뇌신경 조직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eb6354d-fdea-475a-a2c0-1d4a2d35ce3c"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888de668-75d6-408e-a5c5-cf0263bbc6c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처음 KIST 스쿨에 가기로 마음먹었을 때 학교가 아닌 만큼 수업적인 면에서는 큰 기대를 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KIST에 실제로 와보니 수업의 종류도 다양하고, 타 대학과의 교류수업도 잘 되어있었다. 수업을 들을 수 있는 환경 또한 잘 갖춰져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1551c8e-46b8-4774-8763-72e2a48904c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eacb3a4-949e-4003-87cb-a7aa3fe5e30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KIST에서 그는 연구 기술 뿐 아니라 연구자로서 지녀야할 마음가짐, 사고방식 등을 배웠다. 그는 "프로젝트를 수행하거나 논문을 작성하기 위해서는, 문제가 무엇인지, 그 문제가 왜 중요한지,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해결했는지, 나는 어떻게 다르게 해결할 것인지에 대한 생각과 고민의 시간이 필수"라면서 "최낙원 박사께서 이러한 사고방식을 지도해주신 덕분에 학위과정을 잘 마무리할 수 있었다"며 감사함을 잊지 않았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c3649f8-be26-487a-a419-ecc19ccc1177"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그는 KIST에서 갈고 닦은 체외 배양 플랫폼 연구의 상용화를 위해 체외 뇌혈관 배양 플랫폼 관련 회사에 취업했다. 정 연구원은 "많은 질병으로 고통 받는 환자들에게 현실적인 도움을 주고 싶다"며 "개인 맞춤 의학에 이용되는 체외 배양 플랫폼 개발을 할 것"이라고 포부를 밝혔다. <span style="font-size: 16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ligatures: inherit; font-variant-caps: inherit; font-weight: inherit;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color: rgb(60, 63, 69);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text-align:="" justify;"=""> 탄소중립위한 과학적이고 실용적 연구에 매진 최대일 연구원 "우리가 만든 기술이 연료전지와 수전해 기술의 한계를 극복하게 상용화를 앞당기는데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7061ad07-3314-42d2-8359-d0ccb0ea955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67baf6e-f2e7-41bd-ab04-18432827cba3"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최근 지구는 지구온난화로 몸살을 앓고 있다. 이례 없는 산불과 폭우가 쏟아졌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야생동물과 인류의 몫이 되었다. 온실가스 배출량을 현 수준으로 유지한다면 지구 평균기온이 금세 올라 더 잦은 자연재해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 이를 막기 위해 전 세계가 탄소중립을 위한 연구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17888004-0bee-46c8-9524-2475fc2e7a9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0e66d96-74f5-48ef-bf78-9fc6f8c3df54"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지구를 살릴 깨끗한 에너지에 대한 정답을 수소 에너지에서 찾기 위해 KIST 스쿨에 진학하고 졸업한 학생이 있다. 최대일 수소연료전지연구센터 연구원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fee6cb3-787c-44ce-aba1-d4bcff3e902f"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2eb12647-f472-48d0-9536-d98081a8987d"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탄소 경제에서 신 재생에너지 경제로의 에너지 패러다임의 변화는 선택이 아닌 필수다. 수소 에너지는 탄소 중립의 중심축"이라 말하는 그는 연료전지 및 수전해용 촉매 개발에 관한 연구를 하면서 박사학위를 취득했다. 연료전지와 수전해 기술의 한계점을 극복해 상용화를 앞당길 수 있는 실용적인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졸업 후에도 KIST에서 계속 연구원 생활을 하며 꿈에 한걸음 다가갈 계획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18111e6-4f67-423b-aa6b-e9750a892db0"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3d86387-c325-4751-bd43-7263f871ff2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그는 KIST 스쿨에 몸담으면서 연구자로서 한 단계 더 성장했다고 자부한다. 연구면에서는 연료전지 촉매 내구성 관련 첫 논문을 썼고, 동료들과 함께 연구하며 융합과 협력연구를 배웠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7ec31def-2b5c-46cb-877d-1f45a55c7fc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07eb059c-22e4-40e4-bcd2-589ebde5ed07"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그는 "국가 최고 연구기관에서 연구를 배우고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은 큰 메리트였다"면서 "지도교수님과 연구실 동료 덕에 박사과정을 무사히 마칠 수 있었다"며 감사의 마음을 전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e616bc9-7a95-4149-b946-2c85c50aa94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35816f5-7a77-4d55-ac15-e039687dda9c"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앞으로 그는 박사과정 경험을 토대로 과학적이면서 실용적인 연구 두 가지를 모두 만족시킬 연구가 꿈이다. 그는 "박사과정동안은 연료전지와 수 전해의 촉매 개발에 집중했다면 앞으로는 시야를 보다 확장하여 전반적인 시스템 최적화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싶다"고 말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bafb8890-f774-4d67-a0ce-e40a21b36c0a"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fb00bb85-6d15-4e63-be58-90778e2e83f1"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한편, KIST스쿨 졸업생들은 전 세계로 뻗어나가 과학리더로 활약하며 나은 세상을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다. 2016년 에너지환경 융합공학으로 박사학위를 받은 카이룰 후다야 박사는 모국으로 돌아가 연구와 교육분야에서 두드러진 성과를 냈으며, 2020년 인도네시아 숨바와기술대학교 총장으로 선출돼 지역사회 발전과 보다나은 삶을 위해 기여하고 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4a1f27df-7054-4a4f-a5b0-2c58899ca7dc"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2baf3dc-45db-4285-9e75-3718b2ce045e"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엄성민 박사는 인공지능을 활용해 암호화폐 시세 방향성과 변동률 예측해 투자 리스크를 줄이는 아이템으로 벤처‘데이터리퍼블릭’을 창업했다. 안상철 박사는 웹 브라우저를 통해 AR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플랫폼 등 웹기반 증강현실(AR) 기술을 통해 ‘렛시‘를 창업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968a8513-be1c-401e-b056-4760f36724b6"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e592bc6c-f6a6-41f7-818c-bd3e57e046f2"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이 외에도 대학 교수, 출연연 기업 등에서 연구원으로 활약 중이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justify " id="SE-5c8b0665-493c-4f58-be27-8a76f7b1c298" style="border: 0px; font-variant-numeric: inherit; font-variant-east-asian: inherit; font-stretch: inherit; font-size: 0px; line-height: 1.5;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vertical-align:="" baseline;="" word-break:="" break-word;="" overflow-wrap:="" color:="" rgb(60,="" 63,="" 69);="" background-color:="" rgb(255,="" 255,="" 255);="" text-align:="" justify="" !important;"=""> KIST스쿨 현 재학생은 총 274명 (내국인 146 명 /외국인 128명)이다. 2022년 3월 기준 총 763명이 졸업했다.
"이상한파 원인 걸프류" 내용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좋은 연구결과라고 생각하는데, 내용 중에 이상한 게 있어서요. 우리나라 겨울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북대서양 걸프류 해양 전선과 (왼쪽) 북미 지역에 영향을 미치는 북태평양 쿠로시오 해류 전선 (오른쪽). 우리나라 겨울 기후에 영향을 미치는 게 "북태평양 쿠로시오 해류 전선" 아닌가요? 확인차 문의드립니다.
"이상한파 원인 걸프류" 내용 관련 문의
안녕하세요. KIST 커뮤니케이션팀입니다. 문의주신 내용에 대해 연구책임자로부터 받은 답변 전달드립니다. 중위도 지역의 겨울 날씨는 편서풍 제트기류의 강도와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북대서양의 걸프류 해양전선에 열이 축적될 때 대서양 상공의 제트기류가 남북방향으로 크게 출렁이게 되는데, 이 때의 대기의 운동 에너지가 편서풍을 타고 유라시아 지역으로 전달되면서 우리나라에 한파가 오게 됩니다. 마찬가지로, 쿠로시오 해류 전선에 열이 쌓이는 경우에는, 태평양 상공의 편서풍 제트 기류가 남북방향으로 출렁이게 되고 이는 북미 지역에 한파가 발달하기 좋은 조건을 만듭니다. 문의주신 내용과 같이 쿠로시오 해류 전선이 우리나라에 인접해 있기 때문에 쿠로시오 해류 전선의 영향이 우리나라에도 전혀 없지는 않겠지만 편서풍 하류 지역에 위치하는 구조 상 그 영향은 우리나라에는 제한적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연구 내용에 흥미를 갖고 질문해주셔서 감사합니다.
"학습.기억현상연구단"개소
우리원은 12일 오후 원내 산학연협력연구동에서 '학습.기억현상연구단'(단 장 신희섭 박사)개소식을 갖고 뇌기능에 대한 본격적인 연구활동에 들어갔 다. 사진 왼쪽에서부터 김유승 KIST 부원장, 신희섭 단장, 박호군 원장, 김원 배 동아제약연구소 소장, 김명수 생체과학연구부장.
"현장 원하는 기술 개발해야죠" 햇빛으로 바이러스 제거 '분리막' 개발 뒷이야기
[인터뷰] 변지혜·홍석원 물자원순환연구센터 박사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eab31928-8640-4ada-910c-942526e34f6f"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line-height: 1.8;"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retch:="" inherit;=""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69);"="" align="justify">수처리 분리막+광촉매 기술로 1시간 내 분리막 표면 미생물 오염 세척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1163a8a2-192e-44b6-9711-2a2979d192ec"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line-height: 1.8;"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retch:="" inherit;=""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69);"="" align="justify">"발암물질 등 폐기물 발생없는 친환경 수처리 공정 활용 기대" 수처리 연구자와 광촉매 연구자가 의기투합해 햇빛만으로 세척 가능한 분리막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일주일 사용으로 미생물이 쌓이고 성능이 떨어져 청소하기 바빴던 수처리 분리막을 친환경적이고 스마트하게 관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연구를 주도한 것은 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의 변지혜 박사와 홍석원 센터장팀이다. 홍 센터장은 "소재합성 등 광촉매를 하던 변 박사와 기존 기술들을 융합하면 통해 재밌는 결과가 나올 것 같아 연구를 시작했다"며 "국내뿐 아니라 식수 오염 등으로 고통받는 개발도상국 등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10분 만에 깨끗~수처리연구 20년, 하수처리장 관계자 목소리 듣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1163a8a2-192e-44b6-9711-2a2979d192ec"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line-height: 1.8;"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retch:="" inherit;=""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69);"="" align="justify"> 홍 센터장에 따르면 2000년대 전만 해도 분리막은 고가제품으로 분리돼 수처리 사용이 어려웠다. 그러다 수질규제가 강화되면서 오염물질을 효과적으로 걸러주는 수처리 분리막의 필요성이 커졌다. 수요와 공급이 맞춰지며 단가가 내려갔고 지금은 해수 담수화, 물 재이용, 하수 처리, 반도체 사업장의 초순수 공정 등에 분리막기술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장시간 이용하면 표면에 미생물이 자라고 무기물질이 붙는 등 막 오염 현상이 일어난다. 수처리 관련 연구만 20년 넘게 해온 베테랑 홍 센터장은 하수처리장 등을 돌아다니며 수처리 분리막 때문에 고생하는 현장의 여러 이야기를 들었다. 그에 따르면 현재 수처리 분리막 세척 기술은 일주일에 한 번 정도 6시간 이상 화학약품을 이용해 관리한다. 하지만 홍 박사는 "분리막이 약품에 의해 손상되기도 한다. 특히 황산이나 염소계열 등으로 씻으면 발암물질 등 독성을 가진 폐기물도 배출돼 개선이 필요했다"고 설명했다. 변 박사와 홍 센터장은 광촉매를 이용해 스스로 세척하는 분리막을 개발하자는데 의견을 모았다. 광촉매는 빛을 흡수하고 주변의 산소 분자를 활성화해 활성산소종을 발생시켜 살균 효과 및 오염물의 분해능이 뛰어나다고 알려져있다. 공기청정기 등에도 활용되는 기술이다. 특히 연구팀은 태양광 중 가시광선에 반응하는 수처리 분리막 개발에 힘썼다. 태양광은 자외선/적외선/가시광선으로 나뉘는데 광촉매는 비율이 가장 적은 자외선에 가장 활발히 움직였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가시광선에서 광촉매가 활발하게 반응하도록 만들어 세척능력을 극대화시켰다. 여기에 연구개발한 광촉매를 수처리 분리막 표면에 단단하게 고정했다. <img src="/_attach/kist/old/img/5/editor-img467006857.png" title="2021013015393008_0.png" alt="" style="caret-color: rgb(60, 63, 69);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caps: inherit; white-space: pre-wrap; color: rgb(60, 63, 69);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span style="font-size: 16px; font-style: inherit; font-variant-caps: inherit;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rgb(60, 63, 69);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white-space:="" pre-wrap;"=""> 연구팀에 따르면 표면처리를 거친 분리막을 가시광선에 노출한 결과, 표면 오염물질을 완전하게 분해해 손쉽게 분리막을 세척할 수 있었다. 10분가량 빛을 쐰 것만으로 재활용 가능한 수준으로 세척됐으며, 최대 1시간 만에 분리막 표면에 쌓인 고농도 대장균 및 황색포도상구균 같은 박테리아와 박테리오파지 등의 바이러스를 99.9% 제거하는데도 성공했다. 개발된 분리막은 미생물뿐만 아니라 염료 등의 유기 오염물질과 중금속까지 처리 가능했다. 10회 이상 반복 테스트에도 성능이 유지되는 장점을 나타냈다. 가시광선은 형광등에서도 나온다. 우리나라처럼 흐린 날이 많은 경우 햇빛 대신 형광등을 쐬기만 해도 살균할 수 있다. 변 박사에 따르면 이번 연구의 핵심은 화학적 처리를 통해 수처리 분리막 표면에 광촉매를 고정한 것이다. 변 박사는 "기존연구들은 수처리 분리막에 광촉매를 단단히 고정하기 어려워 풀처럼 만들어 발랐다. 장시간 사용에 광촉매들이 떨어져 나가 기공을 막아 성능 저하되거나 떨어져 나간 광촉매를 다시 걸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었다"며 "우리는 화학적인 결합으로 기공을 막지 않으면서 벗겨지지 않도록 특성을 부여해 공정과정을 한 단계 줄였다"고 설명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ba194b86-cd51-4925-95d2-a45f95fbe9c9" style="border: 0px; font-family: se-nanumgothic, "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retch:="" inherit;="" line-height:="" 1.8;="" vertical-align:="" baseline;=""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69);"="">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ba194b86-cd51-4925-95d2-a45f95fbe9c9"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line-height: 1.8;"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retch:="" inherit;=""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69);"="" align="justify">[찢고 터졌던 분리막, 시행착오와 노하우로 성공하다] "광촉매 기초연구만 하다 처음으로 상용화에 가까운 연구를 하게됐습니다. 앞으로 우리 기술이 손쉽게 수처리 분리막 재사용 공정이나 소재를 구현할 수 있도록 방향성을 갖고 연구하겠습니다"(변지혜 박사) 광촉매 기초연구에 매진 해온 변 박사는 이번 기회를 통해 처음으로 분리막에 본인 연구 분야를 접목했다. KIST에 들어온 지 얼마 안된 변 박사가 상용화에 가까운 연구를 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고농도 미생물 용액을 만들어 분리막 성능 테스트를 하면서 정말 많은 분리막을 찢고 터뜨렸지만 수많은 시행착오와 노하우를 바탕으로 실험과정을 최적화했다. 폐수보다 농도가 짙은 미생물을 거른 후에도 햇빛에서 분리막을 깨끗하게 자가세척할 수 있었다. 해당 기술은 적은 에너지로도 오염을 제거할 수 있어 우리나라뿐 아니라 물 위생관리가 어려운 개발도상국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홍 센터장은 "실용화를 위해서는 대면적 분리막의 성능 최적화를 위한 후속 연구와 스케일업 등이 필요하다"면서 "현장에서 실제 사용될 수 있도록 현장 폐수를 이용해 분리막 소재의 내구성과 장기 성능을 확인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미생물을 다루는 실험은 누가 분석하느냐에 따라 오차가 크다. 꼼꼼하면서도 분석에 오랜시간이 걸리는데도 불구하고 학생연구원들이 열심히해줘 좋은 성과를 낼 수 있었다"고 동료연구자들에게 감사의 말을 전했다. 홍 박사팀은 앞으로 물과 관련된 다양한 연구를 추진할 계획이다. "물은 생명의 근원이라 말합니다. 많은 연구자가 인간의 수명을 늘린 기술 중 하나로 상하수도시스템을 꼽은 것도 그와 같은 이유겠죠. 물은 계속 순환을 합니다. 이런 시스템이 붕괴하면 가뭄, 집중호우 등이 나타나요. 물을 깨끗하게 하는 기술도 중요하지만, 기후변화와 맞물린 물순환연구에 대한 진지한 고민이 필요한 때입니다. KIST 물자원순환연구센터에서도 최선을 다해 연구하겠습니다."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ba194b86-cd51-4925-95d2-a45f95fbe9c9"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line-height: 1.8;"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retch:="" inherit;=""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69);"="" align="justify"> <p class="se-text-paragraph se-text-paragraph-align- " id="SE-f5b35f42-a7a8-4dc9-977c-208df19619e3" style="text-align: justify; border: 0px; line-height: 1.8;" \\b098눔고딕",="" nanumgothic,="" sans-serif,="" meiryo;="" font-size:="" 0px;="" font-stretch:="" inherit;="" line-height:="" 1.5;="" vertical-align:="" baseline;="" word-wrap:="" break-word;="" word-break:="" overflow-wrap:="" white-space:="" pre-wrap;="" caret-color:="" rgb(60,="" 63,="" 69);="" color:="" 69);"="" align="justify">
<공지글> KIST 도쿄 올림픽 도핑 분석 전문가 파견 관련 답변 을 보고
국제 반도핑 기구인 WADA(World Anti-Doping Agency)는 아프리카, 미주, 아시아, 유럽, 오세아니아 지역의 38개국이 회원이라고 되어있습니다. 스포츠 대전마다 각국의 도핑 전문가들이 함께 도핑 업무에 힘을 모은 바가 있다고 하시는데, 이번에 문제된 호르몬과 유사 금지약물의 모든 분석 기술은 미국, 브라질, 한국만이 가지고 있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만약 스포츠 대전마다 모든 기술을 공유하고 전수하여 주었다면 38개국 회원이 관련된 기술을 모두 가지고 있었을 것입니다. 2018년에 일본에서 평창올림픽에 와서 기술을 공유하였다면 일본이 기술을 이미 가지고 있었을텐데, 없었던 것을 보면 이번에 문제된 분석기술이 평창올림픽~도쿄올림픽 사이에 개발된것으로 보이는데 맞나요? 평창올림픽~도쿄올림픽 사이에 개발된 것이 아니라면 평창올림픽때는 각국의 전문가가 시료분석업무를 도왔긴 하였지만 한국이 도핑기술을 전수하지는 않았던 거겠죠. 호르몬과 유사 금지약물의 모든 분석 기술을 한국이 wada이 모든 회원국에게 전수하지 않는 이상 이는 특정국가의 이익을 대변하는 것이 됩니다. 다행히 제가 쓴 글은 지우시지 않으셨지만, 몇몇 글들은 지우셨더라구요 특정국가의 이익을 준 것이면서도, 스포츠 공정성 및 회원국을 운운하며, 책임을 피해가시려고 하셨다면 실망이 큽니다. 한국을 위해서 열심히 일하시고, 도핑기술에 큰 발전을 이뤄주신 것 또한 kist에서 한국기술에 많은 공헌을 하고 있는 것은 알고 있습니다. 다만 열심히 일해서 일궈진 미래산업의 씨앗이 물거품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또한 전수해준 기술을 가지고 일본이 발전시켜 또 다른 수출규제품목이 되지 않기를 바랍니다.
'2007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에 이화섭박사 선정
'2007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에 이화섭박사 선정 과학기술부(장관 겸 부총리 김우식)와 한국과학문화재단(이사장 나도선)은 과학기술계에서 왕성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과학기술인 가운데 최근의 업적과 활동을 바탕으로 선정했다.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사업은 과학기술분야에서 탁월한 업적을 이룬 과학기술인을 선정하여 홍보함으로써 과학기술인에 대한 긍정적 인식을 심어주고 과학기술계로의 진출동기를 부여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2002년부터 매년 10명 내외의 과학기술인을 선정하여 선정기념식을 개최하고 청소년과 일반인을 대상으로 방송·신문·잡지·홈페이지 등을 통해 홍보활동을 진행하고 있으며, 선정된 과학기술인들은 크리스마스과학콘서트, 과학기술앰배서더 강연, 과학기술명사의 방 등의 과학대중화 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2007년도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선정 기념행사는 선정인과 가족들, 김우식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장관, 나도선 한국과학문화재단 이사장, 채영복 과총 회장, 이호일 산업기술연구회 이사장 등 관련 인사들이 참석한 가운데 8월 23일(목) 18시 그랜드 인터콘티넨탈 호텔 그랜드 볼룸에서 진행됐다. 올해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은 과학기술 관련 기관과 단체 추천자, 후보 발굴위원회 추천자, 주요 과학 관련 상 수상자 등 86명 가운데 1차 심사위원회가 21명의 후보자를 정한 뒤 최종 선정위원회(위원장 유희열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에서 최종적으로 10명의 과학기술인을 선정했다. <김우식 부총리로 부터 '닮고싶고 되고싶은 과학기술인 상'을 수상받는 이화섭박사> < 이화섭박사님의 과학기술상 축하를 위해 참석한 재료기술연구본부 홍경태 부장 > < '2007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10인 > < 김우식 부총리, 이화섭 박사, 금동화 원장 > < '2007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 10인과 김우식 부총리, 나도선 이사장, 채영복 과총 회장등과 함께... >
'2008 나노코리아 전시회 및 KIST-Saarland 공동세미나 개최 (8.27~29)
미래 신산업 혁명을 주도하는 나노기술 세계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국내 최대의 나노축제인 ‘나노코리아 2008’(제6회 국제 나노기술 심포지엄 및 전시회)가 8월27일부터 29일까지 3일간 경기도 일산 KINTEX에서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지속 가능한 세상을 위한 나노기술” (“Nanotechnology for the Sustainable World”)이라는 슬로건을 가지고 국제심포지움, 신기술제품 전시회, 나노기술 공개강연 등 다양한 프로그램으로 진행되었다. 나노기술 전시회에서는 나노소자, 나노소재, 나노바이오, 나노장비, 환경ㆍ에너지를 주제로 8개국 180개 기업이 약 320개 부스를 마련해 참가하였으며, 또한 나노기술 심포지엄에서는 4개국에서 55명의 전문가들이 참석해 최근의 학술성과 및 앞으로의 연구 방향 등을 제시하였다. 우리원 금동화 원장은 ‘New Horizon over the Micron-technology’라는 주제로 기조 강연하였으며, 심포지움 세션별 강연자로 이광렬 박사, 조원일 박사, 남석우 박사가 참여하였다. 또한 나노기술 전시회에서는 “Energy Solution from Nanotechnology”라는 주제로 투명컬러 염료 감응 태양전지 (박남규 박사), 연료전지(김수길 박사), PEC 전지를 이용한 수소 생산기술 (주오심 박사), 이차전지(조병원 박사), 수소저장 소재 및 응용 (조영환 박사), 나노 다공성 에어로젤 초단열재 (서동진 박사) 연구성과물을 발표·전시하였다. 아울러 나노코리아 국제심포지움에서는 독일 잘란트주와 공동세미나를 개최하여 나노분야 기술협력의 가능성을 확대하고, 산업응용에 기여하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Partnership for Adventure on Commercialization of Nanotechnology"라는 주제로 진행된 공동세미나에는 독일 잘란트주의 gwSaar, INM, NanoBioNet, Sarastro GmbH, NANO-X 및 KIST유럽연구소 김창호 소장, KISTI 소대섭 박사, 우리원의 박종구 박사, 한승희 박사, 최원국 박사, 김일두 박사, 김광명 박사가 발표자로 참여하여 그 동안의 연구성과 등을 발표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