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072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2012년 겨울 KIST 전경_국제협력관
2012년 여름 KIST 전경_본관
2012년 여름 KIST 전경_연구동
2012년 전기 학연 장학증서 수여식 거행(03.16)
2012년 전기 학연 장학증서 수여식 거행 -5명에게 400만원씩 지급- ‘12년 전기 KIST 학연장학생에 대한 장학증서 수여식이 3. 16(금) 임원실에서 거행되었다. 학연장학생 제도는 박사과정 학생들의 면학의욕을 고취하고 사기를 진작하고자 학위과정 이수 중 연구실적과 학업성적이 뛰어난 학생을 매학기당 5명 내외로 선발하여 장학금을 지급하는 것으로 ’07년 2월에 신설되었다. 대학원 등록금 인상으로 인하여 ‘12년 전기부터는 장학금을 1인당 400만원으로 인상하였다.(종전은 300만원 지급)이번 학기까지 장학금을 받은 학생은 총 37명으로 총 지급액은 116백만원에 이른다. *장학금 수상자 성명 부서 학교 과정 입학시기 지도교수 김경호 스핀융합연구센터 고려대 박사 2010년 전기 김형준 송미경 통합위해성연구단 고려대 박사 2009년 후기 류재천 서종현 특성분석센터 고려대 박사 2009년 후기 안재평 김광천 전자재료연구센터 연세대 박사 2011년 전기 김진상 문주연 분자인식연구센터 연세대 박사 2007년 후기 최만호 -대외협력본부-
2012년 학연 및 UST 과정 이수증 수여식(2.20)
2012년 학연 및 UST 과정 이수증 수여식(2.20) 우리 원과 대학이 협동으로 운영하고 있는 “학.연협동연구 및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석.박사과정” 2012년 전기 이수증 수여식이 2월 20일 국제협력관 컨벤션홀에서 개최되어 학연66명(석사57명 박사9명), UST 7명(석사4명 박사3명)의 졸업생이 배출되었다 이 날 행사에서 학업 성적과 연구수행 실적이 뛰어난 학생들에게 표창장을 수여하였는데 수상자는 다음 표와 같다 구분 대상자 학연과정 부서 지도교수 최우수상 김경원 박사 전자재료연구센터 장호원 박세진 석사 청정에너지연구센터 민병권 우수상 이윤주 박사 청정에너지연구센터 문동주 정현진 박사 분자인식연구센터 최만호 전준홍 석사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한승희 채상윤 석사 청정에너지연구센터 주오심 장봉석 석사 생체재료연구센터 김수현 우리 원의 학.연과정은 국내에서 가정 성공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산.학.연 교육프로그램으로 확고한 자리매김을 하고 있으며 현재 총 12대학과 협정을 체결하고 있다 학.연 프로그램을 통하여 ‘91년부터 지금까지 배출한 석.박사는 이번 졸업생을 포함, 1935명(석사 1,542명, 박사 393명)에 이르고, 처음으로 통합해서 수여식을 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45명(석사 38명, 박사 7명)을 수여식을 하였다
2013 KIST 시무식 거행(2013.01.02)
우리 원은 지난 2013년 1월 2일 존슨강당에서 시무식을 거행하였다. 아침 10시부터 시작된 이 행사는 입장 시 배포한 메시지 종이에 신년 소망을 기입한 후, 비행기 모양으로 접는 것으로 시작하였다. 홍보팀에서 제작한 2013년 새해 소망 영상 메시지를 상영하였고, 신년사 낭독 후 2013년 덕담인 '변화와 혁신'이 적힌 신년 플랜카드 퍼포먼스를 가졌다. 이 날 소망을 담은 종이 비행기를 날려 무대 위까지 날라온 종이 비행기를 대상으로 추첨하여 소망 낭독과 경품 전달식도 마련되었고, 자리를 옮겨 국제회의실에서 신년 하례식이 다과와 함께 행운권 추첨도 진행되어 즐거운 한 해의 시작을 맞이 하였다.
2013 후기 우수졸업생 포상 및 장학증서 수여(2013.09.04)
2013년 후기 학연과정 및 UST과정 우수졸업생에 대한 시상식과 학연장학생에 대한 장학증서 수여식이 9월 3일(화) 임원실에서 개최되었다. 대상자는 위원회에서 논문, 특허 등 연구업적의 우수성을 기준으로 심사하였으며 우수졸업생에는 8명, 학연장학생에는 5명이 선정되었다. (명단 참조) 학연장학생 제도는 박사과정 학생들의 사기 진작과 면학의욕 고취, 우수 신입생 유치를 위하여 매학기 5명 내외의 장학생을 선발하는 제도로 2007년 2월에 신설되었으며, 지금까지 장학금을 받은 학생은 총 51명, 누적금액은 1억 7,200만원에 이른다. 특히 박은석 학생은 2011년과 2012년 장학생으로 선정된 후에도 우수한 업적을 쌓아 이번에 3년 연속 장학생으로 선정되는 영광을 누렸다. <우수졸업생 명단> 구분 대상자 과정 대학 지도교수 부서 최우수상 (학연) 이경주 박사 고려대 하헌필 다원물질융합연구소/ 물질구조제어연구단 우수상 (학연) 송미경 박사 고려대 류재천 녹색도시기술연구소/ 통합위해성연구단 박대범 박사 고려대 정우상 미래기술연구본부/ 고온에너지재료연구센터 손선경 박사 고려대 김봉수 국가기반연구본부/ 광전하이브리드연구센터 이은숙 석사 고려대 백영준 미래융합기술연구본부/ 전자재료연구센터 최우수상 (UST) 한경석 박사 연합대 이창준 기능커넥토믹스연구단 김영곤 석사 연합대 조성무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박호영 석사 연합대 이관희 생체재료연구단 <우수졸업생 업적> 성명 업적 이경주 SCI 제1저자 논문 4편 / 특허 3편 송미경 SCI 제1저자 논문 3편 / 특허 27편 박대범 SCI 제1저자 논문 2편 / 특허 3건 손선경 SCI 제1저자 논문 2편 / 특허 2건 이은숙 국내 SCI 제1저자 논문 1편 한경석 SCI 제1저자 논문 1편 / 특허 4건 김영곤 SCI 제1저자 논문 1편 박호영 SCI 제1저자 논문 1편 / 특허 1건 <학연 장학생 명단> 성명 과정 대학 지도교수 부서 송강일 박사 연세대 윤인찬 의공학연구소/바이오닉스연구단 김경란 박사 연세대 안대로 의공학연구소/테라그노시스연구단 박은석 박사 서울시립대 정종수 녹색도시기술연구소/환경복지연구단 이규호 박사 고려대 정우상 미래융합기술본부/고온에너지재료 유기천 박사 연세대 고민재 국가기반기술본부/광전하이브리드 <학연장학생 업적> 성명 업적 송강일 SCI 제1저자 논문 3편 / 특허 3건 김경란 SCI 제1저자 논문 2편 박대범 SCI 제1저자 논문 2편 / 특허 9건 이규호 SCI 제1저자 논문 2편 유기천 SCI 제1저자 논문 3편 / 특허 16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