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색결과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072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CMU 현지랩(On-site KIST-CMU Lab) 현판식 (8.8)
우리원은 8월 8일 미국 Pennsylvania주 Pittsburgh시 Carnegie Mellon University의 Robotics Institute에서 KIST 주관, 인간기능생활지원지능로봇기술개발사업단(산업자원부 21세기 프론티어연구사업)의 후원으로 'On-site KIST-CMU Lab' 현판식을 가졌다. KIST 현지랩 공식명칭은 On-site KIST-CMU Lab이며 인간기능생활지원지능로봇기술개발사업단의 후원으로 KIST에서는 지능시스템연구본부의 김동환 박사가 파견(2007년 8월 21 ~ 2009년 3월 31일)되어 지능로봇 개발(로봇의 시각기능 분야의 연구)을 위한 공동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o 사진설명 좌로부터 The Robotics Institute의 Director인 Matthew T. Mason 교수, 해당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Martial Herbert 교수, 하성도 본부장, 김문상 단장
IRDA 학위 수여식(8.16)
2007년 가을학기 국제 R&D 아카데미 학위수여식이 8월 16일 오찬형식으로 국제협력관 외빈식당에서 거행되었다. 박사 3명, 석사 3명, 총 6명의 학생들에게 학위가 수여되었으며 우수한 연구실적을 낸 환경기술연구단의 Dr. Zubair Ahmed (지도교수 안규홍박사) 에게는 우수상이 수여되었다. 베트남의 Vu Thai Phuong (지도교수 배귀남 박사)은 태국 AIT와의 공동학위 프로그램으로 학위를 받았다. 이날 금동화 원장은 졸업생들에게 그간의 노고를 치하하고 KIST 가족임을 잊지 말고, 동문회 활동 등을 통해 계속 연락을 취할 것을 당부하였다.
연합대 학위수여식(8.17)
2007년 후기 연합대학원 대학교(UST) 학위 수여식이 8월 17일 대전 연합대 강당에서 열렸다. 이날 KIST 에서는 석.박사 각각 5명씩 총 10명의 학생들이 영광스러운 학위를 수여받았다. 연구실적과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에게는 연합대 총장상과 연구기관장상이 수여 되었다. 이날 총장상 2, 연구기관장상 4 중 본원 출신 학생들이 절반을 수상 하였다. 연합대 총장상에는 신경과학센터의 이정륜 박사 (지도교수 신희섭 박사)가, 연구기관장상에는 지능인터랙션의 염기원 박사(지도교수 박지형 박사), 계산과학센터의 Dr. San Juan Amor Antonio (지도교수 조승주 박사)가 각각 선정되었다.
KIST, UKC-2007 참가 (8.9 ~ 8.11)
우리원은 8월 9일부터 11일 미국 Hyatt Regency(Reston, VA)에서 개최된 ‘UKC-2007'에 참석하여 기관홍보 및 인재 채용 활동을 벌였다. UKC 행사는 과학기술 첨단분야에서 한∙미간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재미한국인과학기술자협회에서 공동으로 주관하는 연례 컨퍼런스이다. 작년부터 UKC 행사에 참가하기 시작한 KIST는 우수한 재미과학기술자를 초빙하기 위하여 KIST 홍보부스를 운영하며 적극적인 홍보활동을 펼쳤다. 사진 : KIST 홍보부스 전경
KIST 트리오 <KISTrio> 창단 공연
“KIST의 트리오”라는 뜻의 KISTrio는 올해 3월 바이올린을 연주하는 고혜영 선임연구원(43, 신경과학센터)의 주도로 피아노를 담당하는 강민정 선임연구원(37, 생체대사연구센터)과 첼로를 담당하는 임지영 전문원(30, 연구정책실)이 모여 결성된 현악연주단이다. 이들은 음악에 대한 변치 않는 사랑을 품어온 아마추어 음악가들로 매주 수요일 점심마다 바쁜 업무시간을 쪼개어 이번 창단 공연을 준비해왔다. KISTrio는 이번 공연에서 헨델의 오페라 ‘리날도’의 ‘울게 하소서’ 등 총 6개 작품을 선보였다. 특히, 이번 공연에는 이창준 선임연구원(신경과학센터)의 배우자인 소프라노 이재진 씨가 참여하여 협연을 펼쳤다. 아마추어(amateur)란, 라틴어 어원 ‘amator’에서 비롯된 단어로서 말 그대로 ‘연인’을 가리킨다고 한다. 이들 세 사람은 음악가의 길이 아닌 다른 길을 걸어가지만, 음악에 대한 변치 않는 사랑을 품어온 아마추어 음악가, 즉 ‘음악의 연인’이라고 스스로를 칭한다. 8살 때부터 바이올린을 시작한 고혜영 선임연구원은 뉴욕 만네스 음대 교수에게 가르침을 받기도 하였다. 주로 바로크 시대의 음악을 좋아하는 고혜영 선임연구원은 여러 나라의 전통음악, 특히 아일랜드 전통음악을 즐긴다. 고혜영 선임연구원은 출장이 있으면 바이올린을 빼놓지 않는다. 저녁시간에 방문지 근처에 있는 아이리시 펍(Irish Pub)을 찾아가 그 곳에서 아일랜드 전통음악을 함께 연주하기 위해서이다.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피아노를 치기 시작한 강 선임연구원도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즐기며, 특히 낭만파 음악가인 슈베르트와 멘델스죤의 음악을 즐겨 연주한다. 초등학교 5학년 때부터 연주를 시작한 임 전문원은 바흐의 음악을 가장 좋아한다고 한다. 특히 연주하는 모습보다는 첼로 케이스를 등에 짊어지고 다니는 모습이 더 멋지다고 자부한다. KISTrio는 창단 공연 이후 앞으로 일 년에 한 두 차례 연주회를 가질 예정이다.
금동화 원장, UKC-2007 참석 (8.10~11)
금동화 원장은 8월 10일부터 11일 양일간 미국 Hyatt Regency(Reston, VA)에서 개최한 ‘UKC-2007'에 참석하였다. UKC 행사는 과학기술 첨단분야에서 한∙미간의 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한국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와 재미한국인과학기술자협회에서 공동으로 주관하는 연례 컨퍼런스이다. 이번 행사에 김우식 과학기술부총리를 비롯하여 채영복 과학기술단체총연합회장, 과학문화재단 나도선 이사장 등이 참석하였으며, KITECH 김기협 원장을 좌장으로 하여 KIST와 ETRI 원장이 국제협력 현황을 발표하고, KRICT, KIGAM, KORDI, KIMS, KARI, KRISS의 원장들이 패널로 참석하였다. 금동화 원장은 UKC-2007에서 ‘International R&D Cooperation : Case of KIST’라는 주제로 KIST의 국제협력 사례를 발표하였으며, KIST 및 ETRI 사례를 기반으로 각 기관별 국제협력이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고, 미국내 연구기관과 국제협력이 가능하거나 필요한 분야, 재미과학자와 공동연구가 필요한 분야 및 국제협력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금동화 원장, DuPont 연구소 방문 (8.9)
금동화 원장은 8월 9일 DuPont 연구소를 방문하여 Dr. Thomas M. Connelly (Executive VP and Chief Innovation Officer)외 임원진과 만나 DuPont 현황 소개 및 양 기관 연구 협력 방안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2007 후기 학연협동과정 및 연합대학원대학교 우수졸업자 시상 (8.9)
2007년도 후기 학연협동과정 및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우수졸업자에 대한 시상식이 8월 9일 국제협력관 외빈식당에서 거행되었다. 학위과정을 이수하는 동안 연구실적 및 학업성적이 우수한 학생들을 수상자로 선발하였다. 학연협동과정 수상자는 최우수상에 최영진 박사(나노재료연구센터/지도교수 박재관), 우수상에 이욱재 석사(기능금속연구센터/지도교수 김윤배), 박경순 석사(환경기술연구단/지도교수 정진영), 김화실 석사(케모인포매틱스연구단/지도교수 조용서)가 각각 수상하였다. 또한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는 이번에 첫 졸업생을 배출하였으며, 최우수상에 이정륜 박사(신경과학센터/지도교수 신희섭), 우수상에 염기원 박사(지능인터랙션연구센터/지도교수 박지형)와 강재구 석사(인지로봇연구단/지도교수 유범재)가 표창장과 부상을 각각 수여받았다.
2007 대한민국과학축전 참가 (8.10~15)
국내 최대 규모의 종합과학축제인 ‘2007 대한민국과학축전’이 1997년 처음 개최된 이래 8월 10일 일산 킨텍스(KINTEX) 전시장에서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올해로 11주년을 맞아 열리는 이번 과학축전은 지난 40년 동안 대한민국의 과학기술이 걸어온 길을 돌아보자는 의미에서 축전의 주제를 ‘대한민국 과학기술 14600일’로 정했으며, 14600일은 ‘과학기술과 함께 걸어온 40년’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과학기술 발전의 발자취를 비롯해 과학기술 출연연구기관들의 첨단과학기술 성과전시, 참여하는 과학체험프로그램, 이공계진로안내엑스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된다. 우리원은 서로 협력하는 비서같은 로봇 ‘마루’, 휴머노이드 마네킹 로봇 ‘이준기, 한채아’, 심부름도 보낼 수 있는 키 작은 로봇 ‘유리아’, 지능형 반응공간 체험 ‘마우스가 손으로 대체된 아주 희한한 방’, 투명컬러 태양전지 ‘고층건물의 유리창이 태양열 발전소’ 등이 소개하고 있다.
금동화 원장, NIMH 방문 (8.8)
우리원 금동화 원장은 8월 8일 NIMH(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Bethesda, MD)를 방문하여 Dr. Thomas Insel 소장과 기관간 협력방안을 논의하였으며 자체 연구수행현황 파악 및 MRI 장비현황을 청취하였다. NIMH는 NIH의 27개 연구소중 하나로 미 보건국(HHS)의 일부이며, 미 연방정부의 생물의학과 행동연구를 담당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