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객지원
아래와 같이 홈페이지의 정상적인 운영을 저해하는 내용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홈페이지 관리 및 운영지침」에 따라 사전 예고없이 삭제하거나 답변하지 않을 수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제목 페로브스카이트 태양 전지의 상용화
- 등록일 23-07-24
- 조회수 48453
-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
첨부파일
안녕하세요. KIST 커뮤니케이션팀입니다. 질문하신 히스테리시스 현상과 관련해 답변 드립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는 실리콘 태양전지 또는 다른 소재를 기반으로 한 태양전지에 비해 연구 기간은 15년 정도로 짧지만, 높은 효율과 비교적 쉬운 제조 공정 등의 이점을 토대로 상용화 가능성이 높은 차세대 태양전지로 여겨지고 있습니다.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연구 초기에 히스테리시스 발생의 원인을 파악하고자 하는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고, 그 원인은 한 가지로 규명할 수는 없지만 소재 또는 소자의 구조 개선을 통해 히스테리시스가 거의 없는(hysteresis-free) 소자를 보고하고 있습니다. 또한 측정 방식에서도 정확하게 태양전지 효율을 보고할 수 있는 방식(Maximum power point tracking)이 적용되고 있습니다.
2019년 보고된 "Fundamental Understanding of Photocurrent Hysteresis in Perovskite Solar Cells" 논문을 참고하시면 히스테리시스 현상에 대해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Adv. Energy Mater., 2019, 9, 1803017).
감사합니다.
이전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