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제25회 송곡과학기술상에 성균관대학교 김태일 교수
- 등록일 : 2023-02-08
- 조회수 : 2255
-
출처
제25회 송곡과학기술상에 성균관대학교 김태일 교수
-
작성자
커뮤니케이션팀
- 첨부파일
- 송곡 최형섭 박사의 업적을 기리고자 1999년 제정된 송곡과학기술상- 거미감각기관을 모사한 초민감도센서연구..웨어러블 의료기기 발전에 기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윤석진)은 제 25회 송곡과학기술상 『신소재개발 분야』 수상자로 성균관대학교(총장 유지범) 화학공학과 김태일 교수가 선정됐다고 밝혔다. 2월 10일(금) KIST 서울 성북구 본원에서 열리는 57회 KIST 개원기념식에서 김태일 교수에게 상장과 상금 2,000만원이 수여될 예정이다.
김태일 교수는 바이오 전자소자 전문가로, 최근에는 생체모방 바이오 전자소자인 ‘거미 감각기관을 모사한 초고민감도 센서’ 구현 연구 결과를 발표했다. 또한, 거미의 진동 감각기관 주변의 노이즈를 제거하고 필요한 신호만 전달할 수 있는 점탄성패드(cuticular pad)기관을 모사한 소자를 세계최초로 개발했다. 이를 바이오 전자소자에 적용해 바이오 전자소자 상용화의 가장 큰 걸림돌인 노이즈를 제거했으며, 초고민감도 센서가 노이즈 없이 동작할 수 있음을 증명했다. 이 외에도 거미의 진동감각기관 모사 센서의 센싱 메커니즘을 밝히고 센서 최적화에 필요한 구조 연구를 진행해 생체모방 전자소자 및 차세대 스마트 웨어러블 의료기기에 대한 학문적 발전에 크게 기여하였다.
김태일 교수는 “작은 곤충이라고 할지라도 우리가 상상할 수 없는 기능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곤충의 진동흡수 기능을 모사하여 물리적 힘의 진동수 선택 흡수가 가능한 새로운 소재 개발에 대한 내용이다. 이는 층간소음, 자동차 진동 등 실생활의 다양한 소음과 진동을 선택적으로 흡수·제거하는 신소재로 사용될 예정이다.”라며 “앞으로도 신소재를 활용한 생체모방 바이오전자소자에 대한 선도적 연구를 이어 나갈 것”이라고 수상소감을 밝혔다.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 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1999년에 제정되었다. 세계 정상 수준의 신소재를 개발하였거나 국가과학기술 정책에 관한 학문적 연구 및 연구관리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여 국가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기여한 과학기술자를 발굴하여 시상하고 있다.
[붙임] 김태일 교수 이력사항
이전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발령 2023-02-02 | 2919
다음
KIST, 제57주년 개원기념식 개최 2023-02-10 | 29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