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도자료
KIST 창립 43주년 기념사(금동화 원장)
- 등록일 : 2009-02-10
- 조회수 : 5147
- 출처
-
작성자
오현숙
- 첨부파일
기 념 사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금동화
존경하는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 장관님,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님, 주한 외국 대사님(His Highness Ambassadors from foreign countries), 그리고 정부출연연구기관 기관장님을 비롯한 내외 귀빈 여러분!
그리고 KIST 동문 및 가족 여러분!
오늘 KIST의 43번째 생일을 경축하기 위해 이 자리에 참석하신 KIST 가족과 손님 모든 분들에게 감사드립니다.
KIST는 우리나라 경제발전의 한 축을 담당하는 일꾼으로 역할을 훌륭하게 수행해 왔습니다. 선진국 문턱으로 성장해 오는 고비마다 주어진 임무를 훌륭하게 달성해 왔음을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90년 중반, 아직 사람을 닮은 로봇이라는 말이 생소할 시기에, 네발로 걷는 로봇연구를 시작해서 “센토”를 선보였습니다. 그 때 센토 개발의 주역들이 현재 대학과 연구소로 진출하여 우리나라 로봇연구를 주도하고 있습니다. 그 때 KIST가 뿌려놓은 싹인 인간형 로봇은 정부의 신성장동력으로 육성되고 있습니다.
우리는 한 시기의 성공에 안주하지 않고, 다음 과제를 설정하고 도전하는 선구자 역할을 해 왔습니다.
이런 역사와 전통 그리고 과감하게 새로운 영역에 도전하는 KIST 문화에 자긍심을 느끼며 자랑스럽게 생각합니다.
이제 KIST는, 한 사람의 인생으로 보면, 불혹의 나이를 훌쩍 넘었습니다. 국제사회에 내놓아도 뒤지지 않은 풍부한 연구 경험을 축적했으며 우수한 인력, 첨단 장비와 시설을 포함한 연구 환경도 세계적 수준(world class)에 도달했습니다.
KIST 가족 여러분, 그리고 내외 귀빈 여러분!
지금 우리는 전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어려운 시기를 보내고 있습니다. 실물 부문에서 성장 동력을 찾는 것이 금융의 실패에 기인한 위기를 극복하는 근본적인 수단입니다. 총요소생산성을 높여서 성장잠재력을 유지 혹은 향상시키는 몫은 분명 과학과 기술입니다.
일 년 전 이 자리에서 우리는 풍요롭고 품격있는 “일류선진국가”의 명품 연구소로서 KIST의 르네상스를 여는 다짐을 한 바 있습니다. 연구개발의 포트폴리오, 연구하는 방법, 연구결과의 질적 수준, 그리고 기관운영 등 모든 요소에서 한 단계 뛰는 혁신을 이야기하였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저희는 우리의 다짐을 구체적 실행계획으로 마련하였습니다.
1) KIST는 앞으로 국가가 준비해야 할 복잡하고 커다란 과제를 선제적으로 도출하여 실행하는 일에 진력해야 합니다.
2) 다학제적인 연구진을 구성하고 열린 혁신 체제로 국내뿐만 아니라 외국의 자원까지 활용하는 연구개발의 플랫폼 기능을 수행할 것입니다.
3) 그리고 모든 요소에서 경쟁성을 강화하여 기관운영의 효율성이 높여갈 것입니다.
한국 속의 KIST를 넘어서 더 나아가 우리의 임무와 연구 영역에서 세계를 선도하는 연구소로 발전하는 모습을 World Leading Institute라는 개념으로 준비했습니다.
정부도 최근 안병만 장관께서도 KIST를 세계적인 연구기관으로 육성하는 의지와 지원책을 밝힌 바 있습니다. 정부의 지원과 우리의 의지와 노력이 어우러짐에 따라 WLI 계획이 가시적인 성과로 이어질 것입니다.
KIST 가족 여러분!
KIST의 발전은 우리나라 도약의 상징입니다. KIST는 대한민국 과학기술의 꿈과 희망을 상징하는 연구소가 되어야 합니다. 국민 모두가 과학기술을 통해 희망을 보고, 더 큰 도약을 꿈 꿀 수 있도록 KIST 가족 모두의 열정과 힘을 모아 나아갑시다.
마지막으로 오늘 창립 43주년을 맞이하여, 각종 상을 수상하신 모든 분들께 축하드리며, 눈에 보이지 않는 곳에서 KIST의 발전을 위해 늘 애쓰고 계신 분들께도 감사와 격려의 말씀을 드립니다.
다시 한 번, 바쁘신 일정에도 KIST 생일을 축하해 주시기 위해 참석해 주신 안병만 교육과학기술부장관님, 민동필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님, 내외 귀빈 여러분, 동문여러분께 KIST 가족 모두를 대신하여 감사를 드립니다.
오늘 이 자리에 참석해 주신 모든 분들의 건강과 행복을 기원합니다.
감사합니다.
2008년 2월 10일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장
금 동 화
이전
오세훈 서울특별시장 초청 정책세미나 개최(1.16) 2009-01-22 | 5081
다음
KISToday No.2(영문저널) 발간 2009-02-12 | 509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