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IST 청정대기센터
생활공간 내 유해 대기오염물질의 노출감소 원천기술 개발

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원

연구목표

  • 바이오미세먼지 탐지 및 모니터링 기술개발*
  • FTIR** 기반 유해가스 실시간 다중 탐지 기술 개발
  • 산소/결원성 산화물 구조 기반 상온 산화분해*** 기능성 원천소재 연구
  • *형광 탐지 기술 기반 바이오미세먼지 상시 탐지·모니터링 기술
  • **푸리에 변환 적외선 분광학(FTIR): 적외선 스펙트럼을 통해 유기화합물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하는 측정방법
  • *** 유해한 대기화학물질 등을 상온에서 별도의 에너지원 없이 소재 자체 촉매기능성을 이용하여 산화·분해시켜 무해화하는 기술

연구추진방법

AMS 활용 동아시아 국제 협력 기반 실시간 화학성분 측정 고도화 및 장거리 이동 규명

세부1. KIST
바이오미세먼지 탐지기술
  • 입자 포집 및 액상화, 고농축 전처리 모듈 개발
  • 바이오미세먼지 내 우점종 및 유해미생물
    리셉터 스크리닝 리셉터/포집 고정화 시료 이용
  • 바이오미세먼지 현장탐지 기술
세부2. KIST
FTIR기반 유해가스 실시간
다중 탐지 기술 개발
  • MEMS-FTIR 기반 기술
  • 유해가스 다중탐지 및 데이터 분석 기술
  • 생활공간 내 유해가스 실시간 모니터링 기술
세부3. KIST
산소/금속 결원 산화물 구조 기반
상온 산화분해 기능성 원천소재
  • 가스상 유해인자 흡착 및 산화분해 기작
  • 산소/금속 결원성 촉매 구조 합성
  • 상온 저농도 산소/금속 산화분해 평가

예상연구성과 및 활용방안

연구성과

  • ·생활공간 실내공기 중 유해물질 노출관리(탐지·저감)를 위한 미래 선도형 핵심 요소 기술 개발
  • ·미세먼지 포집, 포집 시료 고정화 기술, 바이오리셉터를 이용한 부유균 탐지 원천기술 개발
  • ·MEMS-FTIR 광학계 구성요소 설계, 제작 시스템 및 소형화
  • ·결원성 산화물 구조 활용 상온 가스상 유해인자 (포름알데히드) 반영구적 산화분해 촉매 기능성 소재 개발. 공기청정기술 적용 가능 규모 (GHSV 100,000 mL h-1 g-1)

활용방안

  • ·생활공간 실내공기 중 생물학적·화학적 유해인자 능동관리 및 선제적 대응 기술 확립
  • ·실내공기 중 미세먼지 생물학적 유해인자 적극 관리 기술 확립 및 국민 건강 보건 기여
  • ·MEMS-FTIR을 이용한 10종 이상의 다중 유해가스 실시간 현장 탐지 (LDL<100 ppb)
  • ·정밀 결원성 구조 제어 기술 및 유해인자 산화분해 반응기작 추적연구 기술개발을 통한 반영구적 공기청정 소재 원천기술 국산화
KIST 청정대기센터
(02792) 서울특별시 성북구 화랑로 14길 5 KIST 청정대기센터 대기정책팀
E-mail:cleanair@kist.re.kr Copyright © Korea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