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부 사업별 연구소개
대기질 위해요소의 건강영향평가를 통한 국민건강 대응
연구기관
안전성평가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한의학연구원
연구목표
- 미세먼지 표준물질-생체 위해성 평가 시스템 구축*을 통한 미세먼지 독성평가 기술 확립
- 미세먼지의 노출로 생체 내 흡수된 미세먼지 정량분석**을 통한 생체 위해성 규명
- 섭식 유도에 의한 미세먼지 생체 내 장 손상의 인체 위해성 분석
- 미세먼지성 조직손상 연구 인프라 구축 및 미세먼지 대응 예방/치료 한의 소재 발굴
- *인공 미세먼지 주요 조성별 발생 및 노출 평가 기술 및 시스템 구축 등
- **14-C 기반 미세먼지 표지기술 확립 및 Bio-AMS기반 정량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생체 내 흡수/분포 정량기술 확립
연구추진방법
대기질 위해요소의 건강영향평가를 통한 국민건강 대응
총괄 : 안전성평가연구소
- 계절별 미세먼지 발생 기술 보유 및 제공
- 40여개의 동물손상 모델 확보 및 고성능 화상 점적 투여기 보유
세부1 : 안전성평가연구소
- 인공미세먼지 대량화 발생 시스템 개발
- 미세먼지 성분 분석 및 생체영향 분석 연구
- 미세먼지 노출에 의한 손상 악화/ 감수성 규명 연구
세부2 : 한국과학기술연구원
- 미세먼지의 생체(뇌) 흡수/분포 정량 기술 개발
- 미세먼지에 의한 신경전달 체계 교란 및 뇌잘환 상관성 규명
세부3 : 한국생명과학연구원
- 장 손상모델에 의한 장 점막 염증과 마이크로바이옴의 패턴 및 상호조절 분석
- 동물 및 인간-장 모사 모델 기반 손상 핵심인자 및 타 장기와의 네트워크 분석
세부4 : 한국한의학연구원
- 대기환경 모사 기반 미세먼지 비임상 위해성 평가 기술 개발
- 미세먼지성 점막장벽 손상 기전 연구
예상연구성과 및 활용방안
연구성과
- ·인공 미세먼지 대량 발생기술, 생체 내 미세먼지 정량화 등 기반 기술을 통한 인체 위해성 평가
- ·인공 미세먼지 주요 조성별 발생 및 노출 평가 시스템 구축
- ·미세먼지 14-C 표지기술 확립 및 Bio-AMS 기반, 생체 내 흡수 미세먼지 정량분석기술 개발
- ·미세먼지에 의한 비가역적 뇌손상을 예방·제어하기 위해 미세먼지-뇌 위해성에 대한 과학적 근거 마련
- ·인체 위해성 분석을 통한 미세먼지 유도의 질환 대응기술 개발
활용방안
- ·독성 및 유해성 평가 기술 시스템의 구축 및 상용화로 기술 확산
- ·미세먼지 흡입 노출 취약‧민감군 모델기반 미세먼지 독성평가 기술 확립
- ·미세먼지 표지 및 정량분석기술 관련 원천특허 확보 및 기술 선도
- ·총먼지 및 초미세먼지에 의해 유도되는 장 손상 핵심 유효인자 분석 및 발굴 기대
- ·미세먼지성 점막장벽 손상 기전을 규명하여 치료 타겟을 제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