융합연구리뷰

(10월호)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융합기술 동향 / 데이터 과학 기반 미래유망 융합연구 분야 발굴 방법과 사례

(10월호)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융합기술 동향 / 데이터 과학 기반 미래유망 융합연구 분야 발굴 방법과 사례

현대 기술 진화의 주인공 로봇: 인간과의 공존을 위하여 이인호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테슬라의 Optimus는 인간과 유사한 외형과 능력을 갖춘 로봇으로, 인간을 대신하여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보스턴다이나믹스의 이족 보행 로봇 Atlas와 사족보행 로봇인 Spot은 복잡한 환경을 탐색하고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목적 로봇이다. 이러한 로봇들이 보여주는 가능성은 단순한 기술의 진보를 넘어서, 우리의 일상과 산업 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무엇보다 로봇은 인공지능, 자율주행, 센서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융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분야이다. 본 호 기술리뷰에서는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융합기술을 다룬다. 로봇 연구 선진국의 핵심 로봇들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이미 세계에서 로봇 기술의 경쟁력을 공고히 한 우리나라 연구팀의 로봇들과 이를 실현한 기술들을 소개한다. ‘도전적·미개척’ 융합연구 주제 발굴… 데이터 “만능 해법” 미래융합전략센터 데이터분석팀 데이터 과학이 현대 연구의 모든 단계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지금, 융합연구는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기로에 서 있다. 과학 출판물, 특허, 기술 동향을 분석하는 데이터 과학의 활용은 연구 주제 발굴과 정책 수립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실질적 활용을 위해서는 보다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본 호 정책리뷰에서는 데이터 과학이 융합연구의 기획 과정에서 어떻게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다양한 학문적 데이터를 통합해 연구 분야의 효율적 발굴을 지원하는 과정은, 앞으로의 연구 기획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잠재력을 여실히 드러낼 것이다. 이제껏 발견하지 못한 융합 미개척 영역, 데이터 과학이 곧 그 가려운 곳을 긁어줄 것이다.

2024-10-23

융합연구리뷰

(10월호)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융합기술 동향 / 데이터 과학 기반 미래유망 융합연구 분야 발굴 방법과 사례 (10월호)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융합기술 동향 / 데이터 과학 기반 미래유망 융합연구 분야 발굴 방법과 사례

현대 기술 진화의 주인공 로봇: 인간과의 공존을 위하여 이인호 부산대학교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테슬라의 Optimus는 인간과 유사한 외형과 능력을 갖춘 로봇으로, 인간을 대신하여 반복적이고 위험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능력을 갖췄다. 보스턴다이나믹스의 이족 보행 로봇 Atlas와 사족보행 로봇인 Spot은 복잡한 환경을 탐색하고 장애물을 극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다목적 로봇이다. 이러한 로봇들이 보여주는 가능성은 단순한 기술의 진보를 넘어서, 우리의 일상과 산업 구조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것이다. 무엇보다 로봇은 인공지능, 자율주행, 센서 기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융합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분야이다. 본 호 기술리뷰에서는 인간과 로봇의 공존을 위한 융합기술을 다룬다. 로봇 연구 선진국의 핵심 로봇들을 소개할 뿐만 아니라, 이미 세계에서 로봇 기술의 경쟁력을 공고히 한 우리나라 연구팀의 로봇들과 이를 실현한 기술들을 소개한다. ‘도전적·미개척’ 융합연구 주제 발굴… 데이터 “만능 해법” 미래융합전략센터 데이터분석팀 데이터 과학이 현대 연구의 모든 단계에 깊숙이 자리잡고 있는 지금, 융합연구는 새로운 지평을 열 수 있는 기로에 서 있다. 과학 출판물, 특허, 기술 동향을 분석하는 데이터 과학의 활용은 연구 주제 발굴과 정책 수립의 패러다임을 전환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이 아직 초기 단계에 머물러 있어, 실질적 활용을 위해서는 보다 깊은 고민이 필요하다. 본 호 정책리뷰에서는 데이터 과학이 융합연구의 기획 과정에서 어떻게 신뢰성과 정확성을 높일 수 있는지를 탐구한다. 다양한 학문적 데이터를 통합해 연구 분야의 효율적 발굴을 지원하는 과정은, 앞으로의 연구 기획에 미치는 영향과 그 잠재력을 여실히 드러낼 것이다. 이제껏 발견하지 못한 융합 미개척 영역, 데이터 과학이 곧 그 가려운 곳을 긁어줄 것이다.

2024-10-23
(9월호) 기후변화 대응 융합기술 / 초학제 융합연구 R&D 프로그램: 사례 및 시사점 (9월호) 기후변화 대응 융합기술 / 초학제 융합연구 R&D 프로그램: 사례 및 시사점

대기환경과 기후오염: 미세먼지 문제의 융합적 접근 고려대학교 이미혜 교수 우리나라는 2015년 PM2.5을 도입해 대기오염 관측을 시작한 이후, 미세먼지가 국가적 이슈로 떠오르며 약 20조 원의 예산이 투입되었다. 이중 상당 부분이 전기차 보급에 활용되었으며, 이는 에너지 사용이 대기오염과 기후오염의 근본 원인임을 잘 보여준다. 대기오염과 기후오염은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어 통합적 접근이 필요하며, 이를 위해 에너지 정책과의 연계가 필수적이다. 대기화학 연구는 이러한 문제를 진단하고 저감 기술을 개발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며, 성층권 오존 문제 해결 노력도 이와 같은 과정의 일환으로 향후 2050년까지 회복을 기대하고 있다. 환경 문제를 다루는 여러 사례를 볼 때, 정책은 과학적 연구 결과에 기반해야 하며, 지속적인 평가와 재수립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을 지닌다. 본 호 기술리뷰에서는 대기오염과 기후오염 문제의 복잡성을 다루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접근과 연구 결과를 소개한다. 초학제 융합연구: OECD로 만나는 성공의 교과서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권혜연 선임연구원 오늘날 사회가 마주한 문제들은 어느 때보다도 복잡게 얽혀 있어, 전통적인 경계를 허물고 다양한 지식을 융합하는 ‘초학제 융합연구’가 필수적이다. 초학제 융합연구는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비학계 참여자가 협력하여 혁신적인 해결책을 모색하는 접근 방식으로, 실제 문제 해결에 있어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러한 접근 방식이 실현되기 위해서는 언어와 방법론의 차이, 연구 문화의 다양성 등 여러 도전 과제가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들은 초학제 연구의 잠재력을 제한할 수 있다. 본 호 정책리뷰에서는 OECD의 자료를 바탕으로 국내외 초학제 융합연구 R&D 프로그램의 사례를 분석하고, 이를 통해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데 중점을 두고자 한다. 이어서 초학제 융합연구 R&D 프로그램의 개념을 정리하고, 주요 사례를 통해 극복 가능한 접근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러한 분석이 향후 유사한 연구 프로그램의 기획과 운영에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2024-09-25

언론보도

기본썸네일이미지 과기정통부, 2024 미래융합포럼 개최 통해 ‘미래를 개척하는 혁신도전적 융합’ 강조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새로운 미래를 개척하는 혁신도전적 융합의 가능성’이라는 주제로「2024 미래융합포럼」을 11월 14일 동대문 소재 호텔에서 개최했다.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이번 포럼에서는 강연과 패널토론 등을 통해 혁신도전 연구에 있어서 융합이 갖는 중요성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도전적 융합의 신기술 분야로서 AI휴머노이드 로봇 사례를 소개하였다. 기조강연은 ㈜레인보우로보틱스의 오준호 창업자가 참여하여 ‘기술융합 창업과 AI시대의 휴머노이드 로봇’이라는 주제로 ①미래로봇이 갖추어야할 특징, ②우리나라가 집중 개발해야 로봇기술 분야, ③기술 창업을 염두해 둔 차세대 연구자들이 고려할 사항 등을 발표하였다. 특별강연에서는 카네기멜론 대학의 오혜진 교수가 참여하여 “인공지능과 로보틱스는 인간의 효율성과 창의성을 높여 많은 분야의 기술혁신, 나아가 우리 생활의 미래 혁신을 가져올 것이다”라고 강조하였다. 융합 연구성과 전시도 이루어졌다. 인간의 한계와 제약을 넘는 미래 혁신 융합 기술로서의 바이오 융합 성과사례로 노인 세대를 위한 제론테크놀로지(Gerontechnology)가 활용된 옷감형 인공근육 기반의 ‘고령자 이동기능향상 바이오닉 슈트’, ‘고령자의 운동 기능 확장을 위한 생체 센서 기반 내골격 장치’, ‘손목 회전모듈을 적용한 로봇 의수’ 등이 소개되었다. 출처 : 대한민국 정책브리핑 (링크)

24.11.14

KIST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한국연구재단 NRF
미래를 선도하는 정보 인프라 BioIN
국가나노기술정책센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