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KIST"에 대한 4612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KIST 최지현 박사, 휴먼프론티어사이언스프로그램(HFSP) 선정 쾌거
KIST 최지현 박사, 휴먼프론티어사이언스프로그램(HFSP) 선정 쾌거 - ‘노벨상 펀드’로 불리는 휴먼프론티어사이언스프로그램(HFSP)에 선정 - ‘무리지어 먹이를 찾는 행동의 뇌·대사 메커니즘’ 주제로 독일-미국 공동연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이하 KIST, 원장 오상록)은 2025년 휴먼프론티어사이언스프로그램(Human Frontier Science Program·HFSP)에 최지현 KIST 뇌질환연구단 책임연구원이 선정됐다고 밝혔다. 이번 HFSP 연구비 지원 프로그램 수상은 2,208명이 구성한 807개의 후보팀과의 경쟁에서 최종 30팀(92명)에 선정된 쾌거이다. 최지현 박사팀은 그랜트 트랙 (Research Grants)에 선정되어 향후 3년간 연간 40만 달러, 총 120만 달러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최지현 박사는 독일 막스 프랑크 연구소의 Ahmed El Hady 박사, 미국 뉴욕대학교의 Robert Froemke 교수와 함께 국제 공동 연구팀을 구성하여, '무리지어 먹이를 찾는 행동의 뇌·대사 메커니즘'을 연구할 계획이다. 이 연구는 쥐 집단이 실제 환경에서 협력하여 생존 전략을 수립하고 행동하는 과정을 분석하며, 뇌와 신경회로, 호르몬 및 대사 상태, 사회적 상호작용이 어떻게 얽혀 있는지를 종합적으로 밝히는 것이 핵심 목표다. 특히, 최지현 박사팀은 KIST에서 자체 개발한 군집 무선 뇌파 측정 시스템(CBRAIN)을 활용하여 행동, 생리, 신경 활동을 통합적으로 기록하는 기술을 제공할 예정이다. 또한, 뉴욕대학교의 24시간 행동 모니터링 시스템과 막스 프랑크 연구소의 행동 예측 수리모델을 결합하여, 생존을 위한 협력 행동의 뇌-생리-사회적 기전을 정량적으로 규명할 계획이다. 휴먼프론티어사이언스프로그램(HFSP)는 독창적인 학제간 융합 국제 공동연구를 수행할 역량을 지닌 연구자를 선별하고, 새로운 접근법을 통해 생명 기전을 밝히는 연구를 지원하는 국제 펀딩 프로그램이다. 1989년 설립 이래 73개국 8,500명 이상의 연구자를 지원했으며, 수혜자 중 31명이 노벨상을 수상해 '노벨상 펀드'로도 불린다. 이번 2025년 HFSP에서는 최지현 책임연구원을 포함해 신우정 KAIST 교수, 윤영규 KAIST 교수, 최누리 박사(독일 콘스탄츠 대학), 홍유리 박사(독일 막스 플랑크 분자세포생물 및 유전학연구소) 등 총 5명의 한국 연구자가 수상자로 선정됐다. 오상록 KIST 원장은 "최지현 책임연구원이 연구 혁신성을 인정받아 HFSP 수상자로 선정된 것을 축하하며, 앞으로도 더 많은 연
KIST, 초고색재현 풀컬러 발광 상향변환 나노입자 기술 개발
KIST, 초고색재현 풀컬러 발광 상향변환 나노입자 기술 개발 - 고색재현율을 보이는 코어@다중쉘 구조의 상향변환 나노입자 개발 - 단일 나노입자로 RGB 발광 구현, 디스플레이·보안 분야 혁신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 장호성 박사 연구팀은 중심에 있는 코어 입자를 여러 층의 쉘이 둘러싼 다층 구조 형태인 코어@다중쉘 나노구조를 도입하고, 적외선 파장을 조절해 단일 입자에서 고색순도의 RGB 발광을 구현할 수 있는 상향변환 나노입자 기술을 개발했다. 발광 소재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재료로, TV, 태블릿, 모니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어 우리가 다양한 이미지와 영상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기존의 2차원 평면 디스플레이는 현실 세계의 3차원 입체감을 완전히 전달하기 어려워, 깊이감 표현에 한계가 있다. 영화 '아바타(Avatar)'는 3D 영상으로 큰 관심을 받았지만, 관객들은 입체감을 느끼기 위해 특수 안경을 착용해야만 했고,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무안경 3D 디스플레이가 개발됐지만, 이는 시청자의 눈에 피로를 주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3차원 체적 디스플레이(3D volumetric display)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는 3차원 공간에 입체적인 영상 정보를 구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이를 위해 적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상향변환 나노입자가 필요하다. 특히, 하나의 입자에서 빛의 삼원색인 적색(R), 녹색(G), 청색(B)을 모두 발광할 수 있는 나노입자가 필요하지만, 기존 소재는 하나의 입자에서 하나의 색만 발광하거나, R/G/B 발광이 가능하더라도 밝기가 약하거나 색순도가 낮아 색재현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KIST 연구진은 코어와 쉘의 물질 조성을 제어해 각각 R/G/B 발광을 유도했으며, 세 가지 파장의 적외선을 적용해 각 파장에 따라 R/G/B 발광이 나타나도록 했다. 특히, 코어에서 녹색, 안쪽 쉘에서 적색, 바깥쪽 쉘에서 청색 발광이 나타나도록 설계해 단일 입자에서 높은 색순도와 강한 발광 강도의 R/G/B 발광을 구현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나노입자는 동시에 여러 파장의 적외선을 적용하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NTSC 색공간의 94.2%, sRGB 색공간의 133%에 달하는 넓은 색재현 범위를 달성했다. 또한, 이 나노입자를 투명 고분자 복합체와 혼합해 다양한 컬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향변환 나노입자를 이용한 3D 체적 디스플레이 구현 가능성을 제시했다. KIST 장호성 박사는 "적외선을 흡수해 고색재현 풀컬러 발광을 나타낼 수 있는 상향변환 나노입자는 진정한 3D 영상을 볼 수 있는 3D 체적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디스플레이 분야뿐만 아니라 위조와 변조를 막을 수 있는 보안용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NRF-2022R1A2C20059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의 지원을 받아 알키미스트프로젝트(20193091010240) 및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RS-2024-00433146)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8.5, JCR 분야 4.1%) 최신 호에 게재됐으며, Frontispiece로 선정됐다. * (논문명) Multicolor Fine-Tunable Upconversion Luminescence from a Single Nanoparticle for Full-Color Displays with a Wide Color Gamut [그림 1] 균일한 크기, 모양을 가지는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 합성 (좌) 코어@다중쉘 나노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 (우) 코어@다중쉘 나노구조 모식도 및 확대한 나노입자 사진 [그림 2]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로부터 다양한 발광색 구현 (좌)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로부터 나타나는 R/G/B 발광을 통해 구현되는 색재현 범위와 NTSC 및 sRGB 색영역을 보여주는 색도도(chromaticity diagram) (우) 합성된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에 세 가지 파장의 적외선 및 세 가지 파장을 조합한 적외선을 인가할 때 나타나는 발광 사진. 이로부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상향변환 나노입자로부터 다양한 발광색이 구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3]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로부터 디스플레이된 컬러 이미지 사진 (좌측 상단)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를 polydimethylsiloxane(PDMS) 고분자에 분산하여 합성한 투명 고분자 복합체 사진 (우)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PDMS 고분자 복합체에 적외선을 인가할 때 구현된 다양한 컬러 이미지 사진들. 적외선 광원과 상향변환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로부터 원하는 모양의 컬러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진임.
KIST, 초고색재현 풀컬러 발광 상향변환 나노입자 기술 개발
KIST, 초고색재현 풀컬러 발광 상향변환 나노입자 기술 개발 - 고색재현율을 보이는 코어@다중쉘 구조의 상향변환 나노입자 개발 - 단일 나노입자로 RGB 발광 구현, 디스플레이·보안 분야 혁신 기대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오상록) 극한물성소재연구센터 장호성 박사 연구팀은 중심에 있는 코어 입자를 여러 층의 쉘이 둘러싼 다층 구조 형태인 코어@다중쉘 나노구조를 도입하고, 적외선 파장을 조절해 단일 입자에서 고색순도의 RGB 발광을 구현할 수 있는 상향변환 나노입자 기술을 개발했다. 발광 소재는 스스로 빛을 내는 재료로, TV, 태블릿, 모니터, 스마트폰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기기에 사용되어 우리가 다양한 이미지와 영상을 볼 수 있게 한다. 그러나 기존의 2차원 평면 디스플레이는 현실 세계의 3차원 입체감을 완전히 전달하기 어려워, 깊이감 표현에 한계가 있다. 영화 '아바타(Avatar)'는 3D 영상으로 큰 관심을 받았지만, 관객들은 입체감을 느끼기 위해 특수 안경을 착용해야만 했고, 이러한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해 무안경 3D 디스플레이가 개발됐지만, 이는 시청자의 눈에 피로를 주는 단점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3차원 체적 디스플레이(3D volumetric display) 기술이 연구되고 있다. 이는 3차원 공간에 입체적인 영상 정보를 구현하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기술로, 이를 위해 적외선을 흡수하여 가시광선을 발광하는 상향변환 나노입자가 필요하다. 특히, 하나의 입자에서 빛의 삼원색인 적색(R), 녹색(G), 청색(B)을 모두 발광할 수 있는 나노입자가 필요하지만, 기존 소재는 하나의 입자에서 하나의 색만 발광하거나, R/G/B 발광이 가능하더라도 밝기가 약하거나 색순도가 낮아 색재현 범위가 제한적이었다. KIST 연구진은 코어와 쉘의 물질 조성을 제어해 각각 R/G/B 발광을 유도했으며, 세 가지 파장의 적외선을 적용해 각 파장에 따라 R/G/B 발광이 나타나도록 했다. 특히, 코어에서 녹색, 안쪽 쉘에서 적색, 바깥쪽 쉘에서 청색 발광이 나타나도록 설계해 단일 입자에서 높은 색순도와 강한 발광 강도의 R/G/B 발광을 구현했다. 연구진이 개발한 나노입자는 동시에 여러 파장의 적외선을 적용하면 다양한 색을 구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NTSC 색공간의 94.2%, sRGB 색공간의 133%에 달하는 넓은 색재현 범위를 달성했다. 또한, 이 나노입자를 투명 고분자 복합체와 혼합해 다양한 컬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상향변환 나노입자를 이용한 3D 체적 디스플레이 구현 가능성을 제시했다. KIST 장호성 박사는 "적외선을 흡수해 고색재현 풀컬러 발광을 나타낼 수 있는 상향변환 나노입자는 진정한 3D 영상을 볼 수 있는 3D 체적 디스플레이의 상용화를 가능하게 할 것이며, 디스플레이 분야뿐만 아니라 위조와 변조를 막을 수 있는 보안용 소재로도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본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유상임)의 지원을 받아 KIST 주요사업 및 중견연구자지원사업(NRF-2022R1A2C2005943), 산업통상자원부(장관 안덕근)의 지원을 받아 알키미스트프로젝트(20193091010240) 및 소재부품기술개발사업(RS-2024-00433146)으로 수행됐다. 이번 연구 성과는 국제 학술지 「Advanced Functional Materials」 (IF 18.5, JCR 분야 4.1%) 최신 호에 게재됐으며, Frontispiece로 선정됐다. * (논문명) Multicolor Fine-Tunable Upconversion Luminescence from a Single Nanoparticle for Full-Color Displays with a Wide Color Gamut [그림 1] 균일한 크기, 모양을 가지는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 합성 (좌) 코어@다중쉘 나노입자의 전자현미경 사진 (우) 코어@다중쉘 나노구조 모식도 및 확대한 나노입자 사진 [그림 2]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로부터 다양한 발광색 구현 (좌)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로부터 나타나는 R/G/B 발광을 통해 구현되는 색재현 범위와 NTSC 및 sRGB 색영역을 보여주는 색도도(chromaticity diagram) (우) 합성된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가 분산된 용액에 세 가지 파장의 적외선 및 세 가지 파장을 조합한 적외선을 인가할 때 나타나는 발광 사진. 이로부터 본 연구를 통해 개발된 상향변환 나노입자로부터 다양한 발광색이 구현된다는 것을 알 수 있음. [그림 3]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로부터 디스플레이된 컬러 이미지 사진 (좌측 상단)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를 polydimethylsiloxane(PDMS) 고분자에 분산하여 합성한 투명 고분자 복합체 사진 (우) 코어@다중쉘 상향변환 나노입자-PDMS 고분자 복합체에 적외선을 인가할 때 구현된 다양한 컬러 이미지 사진들. 적외선 광원과 상향변환 나노입자-고분자 복합체로부터 원하는 모양의 컬러 디스플레이 구현이 가능함을 보여주는 사진임.
뉴스,공지,채용 키워드"KIST"에 대한 1841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2025년 서울시 양자기술 사업화 지원 사업 모집 공고
□ 사 업 명: 2025년도 양자기술 사업화 지원사업 □ 모집기간: 공고일로부터 2025년 5월 2일(금) 17시까지 □ 지원대상: 서울 소재(본사 혹은 지사) 기업 및 예비창업자 ※ 예비창업자의 경우 서울퀀텀캠퍼스 양자기술사업화 심화과정 참가자에 한함 □ 지원방법: 신청서식 작성하여 이메일 제출 (제출처: gmlwn0402@kist.re.kr) □ 지원분야: 1) 양자기술 분야 특허 등록, 컨설팅, 마케팅 및 국내·외 전시 참가, 시제품 제작 2) 국내 전시회 부스(서울관) 지원 ※ 중복지원 가능 □ 지원규모: ① 양자기술사업화 자금 2~10백만원, ② 국내 전시회 부스(서울관) 참가 지원 □ 지원예산: 45백만원 □ 향후일정: 서류검토(~5월 초), 서면심사 및 결과발표(5월 중) □ 문 의 처: 홍릉강소특구사업단 02-958-7281, gmlwn0402@kist.re.kr
G밸리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모집 공고
G밸리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에서는 의료기기 관련 기술사업화를 희망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이 '기술사업화 지원사업'의 참여기업을 모집하고 있습니다. 1. 사 업 명 : G밸리의료기기개발지원센터 기술사업화 지원사업 2. 사업목적 : 연구개발 전후방 단계 지원을 통한 의료기기 기업의 제품개발 및 사업화 전주기를 포괄적으로 지원 3. 지원대상 : 서울 소재(본사 혹은 지사)를 두며, 의료기기 관련 기술사업화를 희망하는 기업 4. 지원내용 지원과제 기업당 지원금액 지원기업수 지원비율 선정평가 시제품 제작 지원 시제품 제작 지원을 통한 기업의 기술 애로사항 해결 및 기술 경쟁력 강화 최대 15백만원 6개사 90% 이내 1차 서류평가 -> 2차 발표평가 혁신(유망) 기술개발 지원 기업의 혁신성장을 위해 전문가 기술자문 등을 통한 혁신(유망)기술 발굴 및 개발 지원 최대 10백만원 2개사 90% 이내 1차 서류평가 -> 2차 발표평가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시제품제작 지원 접수 및 문의 : newcenter@kist.re.kr -혁신(유망)기술개발 지원 접수 및 문의 : supersk@kist.re.kr
2025년 후기 학·연협동연구(학연생) 석·박사(통합)과정 추천자 안내
2025년 후기 학·연협동연구 석·박사(통합)과정 추천서 발급 대상자를 첨부와 같이 안내 드립니다 . * 추천서 발급 대상자 명단에 이름이 없는 경우 불합격자(미추천자)입니다. ** 개인정보 보호를 위해 이름 가운데 글자를 *로 표기하였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추천서 수령 안내] 1. 수령 기간 : 2025.03.26.(수) ~ 2025.03.31.(월) 10:00 ~ 17:00 까지 * 정해진 기간 및 시간에만 배포 하오니 유념하시기 바랍니다 . (점심시간(12:00~13:00) 방문 자제 요망) 2. 수령 장소 : KIST 본관 3층 학연운영팀(A0345호실) 3. 수령 방법 : 상기의 기간 내에 수령 장소를 방문하여 본인 확인 후 수령 * KIST 북문(6호선 상월곡역 4번출구)에서 출입확인 후 본관 3층 A0345호에서 수령하여 주시기 바랍니다.(신분증 지참 필수 ) [FAQ] 1. 추천서 수령 이후의 절차는 어떻게 되나요? 추천서 수령 =>지원 대학교(대학원)의 접수기간에 본 추천서를 첨부하여 지원 => 대학교(대학원) 전형일정에 맞춰 모집절차(면접 등) 등 진행 => 최종 합격여부 대학교 통해 확인 => KIST 입원(2025.9.1.자) 2. 지원한 대학교 및 전공을 변경할 수 있나요? => 지원하신 대학교 및 전공으로 심의를 진행/완료 하였으므로 변경이 어렵습니다. 첨부 : 2025년도 후기 학 ·연협동연구 석 ·박사 (통합 )과정 추천서 발급 대상자 명단 . 끝
직원검색 키워드"KIST"에 대한 4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