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2252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KIST 금동화 원장님 신년사
KIST 가족 여러분!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마음을 추슬러 새로운 희망으로 맞이한 새해 무자년(戊子年)이 시작되었습니다. 오늘 이 자리는 쥐처럼 부지런히 일을 시작해서 좋은 열매를 많이 생산하자는 각오를 다지고 소중한 자리입니다. 새해에 우리 모두가 KIST의 밝은 미래를 향해, 힘차게 전진하는 한 해가 되기를 기원합니다. 1년전 이 자리에서 연구 활동과 기관 운영의 모든 요소를 시급히 국제 표준으로 끌어 올려서 KIST가 제2 르네상스를 열어나갈 수 있는 기반을 확고히 다져나갈 것을 천명하였습니다. 그리고 지난 한 해 동안 Global KIST를 염두에 둔 많은 시도를 하였습니다. 이전보다 목표의 정량성을 더 높이고 일정을 더 세분화하고 점검 하는 등으로 우리 모두가 자긍심을 가져도 충분할 훌륭한 성과를 거두었습니다. 목적성이 뚜렷한 분야는 연구단 체제로 바꾸고, 기반성이 강한 연구센터는 동질성을 높여 그룹연구가 활력을 찾도록 연구조직을 개편하였습니다. 미래융합기술연구소를 새로이 설치하여, 흔히 IBNT로 지칭되는 융합의 의미보다 넓은 개념의 융합과학의 지평을 열 수 있는 기틀을 마련했습니다. 어렵게만 여겨졌던 연구계약고 1,500억원도 달성하였습니다. 국가연구소로서 담당해야 할 마땅한 숙제(즉, National Agenda)를 발굴하기 위한 노력에도 큰 변화가 시작되었습니다. SRIC를 통한 컨설팅과 미래위원회와 융합기술위원회 활동으로, Bionics 시스템과 Safety Engineering, 에너지환경 분야의 3개 융합기술 과제에 대해서는 지난 해 시범사업으로 연구에 착수하였습니다. 앞으로, 국가적 과제의 해결을 위해 KIST가 반드시 해야 할 연구에 더 많은 자원을 배분하는 등 집중도를 높여 나가야 할 것입니다. 연구 성과 측면에서도 괄목할만한 업적을 이룩하였습니다. 비신경세포의 정보전달 메카니즘 규명(이창준 박사), 지능형 나노입자를 이용한 단백질 키나아제의 활성 측정 기술(권익찬 박사) 등 세계적으로 손색없는 기초․원천기술을 개발하였습니다. 유기광섬유를 기반으로 Home Network System을 구현시켰고, 구부러지는 트랜지스터와 앞으로 소방수 역할을 할 초기 로봇인 시큐로를 선보였습니다. 먹는 내시경인 미로는 유럽시장에 판매를 시작했고, 축산폐수에서 고농도질소 처리장치를 대규모 농가에 설치하였습니다. 통증치료제 개발을 목표로 하는 케모인포매틱스 연구는 세계적 제약사들도 동참 혹은 지원하고 싶다는 의지를 표명하는 정도로 크게 성공할 가능성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지난해에 달성한 굵직굵직한 연구 성과들은 KIST의 위상과 긍지를 크게 높여 주었습니다. 연구지원 시스템에도 변화가 시작되고 눈여겨 볼 성과들이 있었습니다. 연구비관리 인증제 획득을 통해 대외 신뢰도를 높임과 수탁과제의 정산업무를 약 40%까지 줄일 수 있게 되었습니다. 안전제일(Safety First) 운동으로 KIST 캠퍼스에서 일하는 구성원들의 안전에 대한 의식이 바뀌고 우리 연구실 환경이 한 단계 도약하였습니다. 1인 5혁신과제 발굴을 통해 낡고 실효성이 없는 제도와 규정을 없애고 바꾸는 작업을 시작하였습니다. 키스트리오를 포함한 여러 공연과 문화 행사를 통해 의사소통과 가치와 재주를 공유하는 기회를 크게 넓혔습니다. 일사일촌 운동과 복지시설 등에 봉사 활동을 전개하여 KIST인들이 사회적인 책무성을 몸으로 실천하는 계기와 방식을 마련하였습니다. 이 모든 성과들은 KIST 구성원들의 노력이 합쳐진 group effort의 결실이라 생각하며, 여러분의 노고에 충심으로 감사드립니다. 이 자리를 빌어 강조하고 싶은 것이 있는데, 그간 움츠리던 분위기가 풀리기 시작했고, 변화의 물줄기가 분명해졌다는 것입니다. 우리 스스로 고정관념에서 벋어나고 긍정을 힘에 불을 붙이는 노력에 대해 더 감사드립니다. KIST 가족 여러분! 2008년 새해에는 대내외적으로 많은 변화가 예상됩니다. 전문가들은 세계적으로 경제성장세가 둔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중국은 모든 면에서 세계 1등을 지향하면서 우리를 가깝게 추격해 오고 있고, 러시아, 인도 등 신흥 강국들도 세계무대에 중요한 플레이어로 급속하게 부각되고 있습니다. 금년이 건국 60주년이 되는 해입니다. 나라 나이가 60이 되었다는 것은 그 국가 체제가 생존할 수 있음이 증명된 셈이고 이후부터는 다음 단계로 진화ㆍ발전해야 한다고 합니다. 우리는 두 달 후에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면, 정치․사회적으로 큰 변화의 물결이 예상됩니다. 이에 따라 국민들은 과거에 하면 된다는 긍정과 진취의 기상이 살아나서 우리나라가 새롭게 도약하는 걸음을 내딛는 의미 깊은 한 해가 될 것을 기대하고 입습니다. 그럼에도 우리에게는 정부조직 개편, 공공부문 구조조정 등을 정부출연연구소에 영향을 미칠 변화도 예상할 수 있을 것입니다. 정부 R/D 예산이 100억불 시대에 진입하였음에 비추어볼 때, 앞으로도 과학기술계에 대한 기대와 요구는 한층 높아질 것 입니다. 국가적으로 원천기술 확보에 대한 요구가 늘고 논의는 지금보다 훨씬 구체적일 것이며, R/D 자원 투입에 대한 효율성 제고 압력이 더욱 커질 것입니다. 또한, 과학기술 지식 창출과 R/D 활동에서 수요와 공급 간의 격차 줄이기 위한 요구가 높아질 것입니다. 특히, 지금까지 남이 간 길을 따라가는 모방․개량자(path follower & manager)에서 새로운 기술을 만들고 분야와 제품을 개척하는 창조자(path creator)로의 변화가 더욱 분명하고 구체적일 것입니다. KIST 가족 여러분! KIST는 이러한 변화의 시기를 슬기롭게 헤쳐 나가발전과 도약의 기회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 그동안 축적한 저력과 강점을 살리고, 기관 운영의 앞선 경험와 단결력, 그리고 지난해 구축한 변화의 모멘텀을 활용한다면, 외부 환경의 변화 속에서 연구소의 체질을 튼튼히 다질 수 있을 것입니다. 금년에도 지금까지 구축한 변화의 모멘텀을 더욱 키우고 넓혀서 KIST가 세계적 수준(global standard)의 연구소로 탈바꿈하는데 더욱 박차를 가해야 합니다. 첫째, 우리가 여러 해 동안 노력과 자원을 집중 투입한 중점분야 연구에서 세계에 내놔도 손색없는 훌륭한 연구결과를 창출해야 할 것입니다. 지금까지 연구하던 일 중에서 잘 되는 것은 더욱 정교하게 다듬고 완성도를 높이고 잘 안되거나 어려운 것은 포기하지 않고 끈질기게 달라붙어서 되는 방법과 새로운 길을 찾도록 해야 할 것입니다. 즉, 우리민족에게 특수하다는 “끈질긴 근성의 힘”을 발휘해서 세계적으로 명품을 만들어 내어야 합니다. 둘째, National Agenda을 제대로 추진하는 것입니다. 설령 불확실성이 높고 성공 확률이 낮더라도 KIST가 그 연구를 시작하는 것만으로도 “아 KIST답구나!” 하는 평을 받을 수 있는 연구에 도전해야 사회적인 책임을 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고 21세기 국가 연구소의 표상으로 발전할 수 있습니다. 이를 위해, 지난 해 D-1 형식으로 착수한 융합기술 시범과제에 대해서 내용물을 단단히 채우고 추진 로드맵을 정교하게 다듬어서, 시간이 흐르면서 결실을 맺을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고자 합니다. KIST는 그 어느 기관보다 융합연구를 수행하는데 좋은 여건과 토양을 가지고 있습니다. 대학이나 기업이 잘하는 것은 넘겨주고, 정부출연연구소가 담당해야 할 분야와 추진 방식을 찾아서 KIST가 융합기술 분야에서 확고한 리더쉽을 가져야 할 것 입니다. 셋째, 조직으로서 KIST의 경쟁력을 높이는 일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자 합니다. 잘하고 먼저 가는 그룹에 더 많은 자원을 할당하여 성공하는 모델을 만드는 일, 연구원의 부서 간 유동성을 높여서 협동 (혹은 공동) 연구가 방해하지 않도록 하는 일, 외부 중견과학자가 우리의 연구에 참여하는 기회는 확대시키는 것들이 중요합니다. 연구인력 구성에서 하부구조를 개선하는 일은 긴 호흡을 가지고 추진할 일입니다. BSC를 비롯한 목표관리 제도를 정교하게 개선하고, 질 중심의 성과 관리 방식도 내실화해야 합니다. 행정 및 연구지원 제도와 인력도 국제수준이 되어야 합니다. 연구원들이 미지의 세계에 도전하는 진정한 의미의 “과학자 정신”을 발휘하려면,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는 지원을 받아야 할 것입니다. 일하는 방식을 업그레이드하기 위해서 필요하다면 교육과 훈련프로그램도 새롭게 설계하고 다듬을 필요가 있습니다. 지난해에 경영지원부에 대해서는 학습하는 조직으로 탈바꿈을 주문한 바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미래 성장을 위한 인프라를 선진화해 나가는 일입니다. 금년에 여러 개의 건설공사가 진행됩니다. 현재 L5 연구동 재건축과 강능 분원의 과학기술 연수원 겸 직원 숙소 건설이 공사 중입니다. KIST 유럽연구소 제2 연구동 건설을 봄부터 시작할 예정이고, 중이온가속기 건설, L4 연구동 재건축 및 전북분원 건설을 차질없이 준비하여야 합니다. 특히 L5 연구동 완공이 예정된 후반에는 분석시설의 이동과 함께, 연구실 환경 개선에 물꼬를 트게 될 것입니다. KIST 가족 여러분! 우리의 목표는 KIST가 추구하는 연구의 성격과 방향, R/D성과의 양과 질, 인력과 재원 구성, 기관 운영시스템 등 모든 측면에서 국민소득 3-4만불 나라의 일류 국가연구소의 모습을 갖추는 것입니다. KIST 설립 이후 선배들이 쌓아온 좋은 전통을 살리고, 우리가 가진 역량을 모으고, 모두 전문가로서 진취적인 기상과 열정의 에너지를 쏟는다면 제2의 KIST 르네상스를 열어 나갈 수 있습니다. 낡고 덜 맞은 목표는 새롭게 바꾸고, 목표와 가는 방향이 좋다면 실천하며, 행하는 속도가 느리면 재촉해서 빠르게 나아가야 할 것입니다. 매일매일 출근하는 발걸음이 즐거운 신바람 나는 일터, 우리 모두의 꿈을 이루어 가는 비전의 터전, 국민에게 꿈과 희망을 주는 KIST를 만들어 나가도록 다 같이 노력해 나갑시다. 무자년 새해에 KIST 가족 모두의 소망이 이루어지길 진심으로 기원하며, 여러분의 가정에 행복과 웃음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2008. 1.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원 장 금 동 화
기초기술연구회 유희열이사장님 신년사
사랑하는 기초기술연구회 및 소관연구기관 가족 여러분, 정해년(丁亥年) 한 해가 저물고 희망과 도전의 새로운 한해가 밝아왔습니다. 다가오는 새해는 무자년(戊子年) 쥐띠 해로, 쥐는 다산(多産)과 부지런함을 상징합니다. 올 한 해 여러분과 여러분의 가정에도 넘치는 풍요로움 속에 행복이 충만하기를 진심으로 기원합니다. 특히 이번 새해는 한해가 바뀜과 함께 새로운 정부가 출범하는 의미 있는 한해입니다. 그동안 마련된 과학기술 중심의 국가운영틀을 바탕으로 우리나라가 세계 일류국가로 도약하는 새로운 출발점이 되는 한해로 기억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 우리나라는 지난 한 해, 극심한 내수부진과 고유가 행진에도 불구하고 200억불 상당의 무역흑자와 함께 4.9%대의 경제성장을 기록하였습니다. 이는 반도체․IT․자동차․철강 등에서 세계적인 기술력을 갖추었기 때문이며, 과학기술이 국가발전의 중심부에 위치함을 실감하게 하는 부분입니다. 이를 위해 정부는 금년 10조 8천억원의 R&D 예산을 세워 세계 8번째 R&D 강국이 되었고 과학경쟁력 7위, 기술경쟁력을 6위로 평가한 IMD 보고서를 감안하면 규모면에서도 과학기술 8대강국으로 진입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그럼에도 독창적 기초원천기술 개발 부족, 기초과학 역량 약화 등 취약점이 많이 있습니다. 앞으로 새 정부는 확대된 R&D 예산 규모에 걸맞게 투자효율을 높일 수 있는 실질적인 정책을 추진하고 특히 기초, 원천기술 투자의 중요성을 공감하여 정부 연구개발 투자 중 25.6%의 기초, 원천기술 투자비를 50% 수준까지 올릴 것으로 계획하고 있습니다. 기초기술연구회 가족 여러분, 기초기술연구회와 함께한 지난 1년은 매우 뜻 깊은 한 해였습니다. 취임 후 연구회와 소관 출연연구기관 구성원들이 한마음 한뜻으로 신바람 나게 일하는 문화를 만들어 세계적 연구 성과를 창출하고자 도밀끌(도와주고 밀어주고 끌어주고) 이념 구현을 경영방침으로 정하고 이를 달성하기 위해 노력해 왔습니다. 지난 한 해 동안 여러분이 흘린 땀과 노력에 대해 그 노고(勞苦)를 치하(致賀)합니다. 지난 해 우리는 무섭게 밀려오는 세계경쟁의 파도에 맞서 과학기술경쟁력을 키우고 새로운 성장 동력을 마련하기 위한 첨단기술개발을 위해 숨 가쁜 여정을 달려왔습니다. 그 결과 여러 분야에서 세계적인 기술개발 성과들을 많이 창출해 냈습니다. 우선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우수한 성능을 가진 절연막 소재를 개발, 휘어지는 고분자 기판소재 위에서의 상온제조공정을 성공함으로써 ‘휘어지는 트랜지스터’를 개발하였습니다. 이는 세계 최고수준의 연구 성과로서, 이를 통해 차세대 IT 소재분야인 플렉서블 일렉트로닉스 분야의 기술선점 및 원천기술을 확보가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은 인간 및 마우스의 각 조직에서 특이적으로 나타나는 유전자 군들의 생물정보를 이용하는 BIT 융합기술을 통해 신약 후보 유전자 등을 탐지하는 새로운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특허 출원 및 기술이전을 실시함으로써 바이오융합시대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연구모델을 정립하였습니다. 또한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은 세계 최고 성능의 자기공명장치(NMR)를 구축하여, 세포사멸 단백질 구조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였으며, 국가핵융합연구소는 올해 최고의 과학기술 뉴스가 된 KSTAR 연구장치 건설을 마무리, 본격 가동함으로써 미래 청정에너지의 꿈을 갖게 해주었습니다. 한국천문연구원은 위성용 우주 적외선카메라의 개발 성공을 통해 고정밀 인공위성 운영이 가능한 레이저 추적 시스템을 개발함으로써 국가의 자주적이고 독자적인 고정밀 위성운영 능력 확보에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한국한의학연구원은 우리 고유의 한의학 의료기술을 첨단 생명공학기술과 접목하여 차세대 국가전략산업으로 발전시키기 위한 ‘21세기 이제마 프로젝트’를 역점적으로 추진하여 가시적인 성과가 하나씩 나타나고 있습니다. 국가수리과학연구소는 한․중․일․러시아와 공동연구기획, 연구자교류에 관한 국제 연구학술협약을 체결함으로써 동아시아 수리과학연구의 중심축으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이 모든 것들이 밤낮으로 말없이 수고해주신 여러분의 땀과 열정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 지난 1년간 앞만 보고 달려온 연구원 여러분들에게 마음속으로부터 뜨거운 감사와 격려를 보냅니다. 친애하는 기초기술연구회 가족 여러분, 미래에는 갈수록 과학기술이 세상의 흐름을 주도할 것입니다. 특히 기초연구는 우리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토대로서 앞으로 다가올 노령화 사회, 에너지 위기, 지구 온난화 등 모든 분야에 걸쳐 닥쳐오는 문제는 기초연구에 바탕을 둔 과학 기술력의 구축 없이는 불가능합니다. 또한 커다란 도전에 직면하고 있는 우리 경제를 살리고 나라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 기초연구를 근간으로 한 원천기술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이러한 원천기술개발의 산실로써 핵심역할과 책무를 다해야 하는 곳이 우리 기초기술연구회와 소관연구기관 여러분들입니다. 우리의 임무는 국리민복(國利民福)의 근간이 될 미래 원천기술을 연구 개발하여 이를 국가경쟁력으로 체화․발전시키는 일입니다. 나라의 미래가 우리 손에 달린 만큼 세계 최초, 최고를 향한 연구원 여러분들의 끊임없는 노력과 변화를 적극적으로 수용하는 열린 마음을 부탁드립니다. 보이지 않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과 성과창출에 대한 조바심은 있지만 기초기술연구회 가족 모두의 서로 화합하고 칭찬하는 도밀끌 연구문화정신을 통해 세계적인 연구성과를 이룩해낼 수 있으며 노벨 과학상수상도 앞당겨질 수 있다고 확신합니다. 이를 위해서 올 한해 다음의 3가지를 여러분과 함께 고민하고 싶습니다. 첫째로 ‘기본으로 돌아가자’입니다.‘기본 1-10-100’이라는 법칙이 있는데 설계 단계에서 기본을 철저히 하면 1달러로 되는 것을, 제조 단계에서 잘못을 바로잡을 때 10달러가 들고, 고객의 손에 가 있는 불량품을 바로잡는 데는 100달러가 든다는 것입니다. 기본이란 이렇듯 기초와 근본의 의미를 넘어서 옳다고 믿는 처음의 마음 즉, 변함없는 약속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기본으로 돌아가서 연구에 임하자는 것입니다. 두 번째로 ‘미네르바의 부엉이가 되자’입니다.헤겔은 법철학의 서문에서 ‘미네르바의 부엉이는 황혼녘에야 날아 오른다’고 하였는데, 그리스 신화에서 지혜의 여신 미네르바의 어깨위에 앉아있는 부엉이가 대낮에는 세상을 보지 못하다가, 황혼녘에야 날아오른다는 것입니다. 이 말의 의미는 세상의 복잡한 현상과 변화가 가라앉은 시점에서야, 비로소 그 세계를 냉정히 바라볼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연구라는 것도 미지의 세계를 탐구하는 것인데 연구자 여러분들이 마음의 평화와 평정을 유지한 부엉이가 될 때 더 좋은 연구 성과가 나올 것입니다. 세 번째로 ‘과학만의 지평선을 넘자’입니다.양자물리학의 창시자로 과학계에 큰 획을 그은 독일의 막스 프랑크는 ‘과학자에게는 예술적 상상력이 필요하다’라고 하면서 과학과 예술의 일체감을 강조한 바 있습니다. 또한 프랑스의 물리학자 아르망 트루소는 ‘모든 과학은 예술에 닿아있고 모든 예술에는 과학적인 측면이 있다’라고 했습니다. 최악의 과학자는 예술가가 아닌 과학자, 최악의 예술가는 과학자가 아닌 예술가라고 하였습니다. 과학이외에 문화나 예술분야까지 사고의 폭을 넓힐 때 상상력이 최고로 발휘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3가지를 실천해나간다면 금년에도 좋은 연구 성과가 창출될 것으로 확신합니다. 사랑하는 기초기술연구회 가족 여러분, 저는 새해 첫날을 맞이하면서, 과학기술의 선순환 혁신전략을 통한 국부창출을 꿈꾸며 대한민국을 기초원천기술 강국으로 만들어야 한다는 신념과 소명의식을 다시 한번 되새겨 보았습니다. 판소리에서의 추임새와 같이 모든 연구원들이 신명나게 연구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입니다. 새로운 정부가 구성되어 첫출발하는 금년 우리 과학기술이 경제에 활력을 주고, 국민에게는 희망과 자신감을, 나아가 미래에 대한 비전을 심어주는 한해가 되도록 다같이 노력해 나갑시다. 여러분이 내딛는 한 걸음 한 걸음이 과학강국 대한민국의 초석이 된다는 자부심과 신념을 갖고 연구에 최선을 다해 주실 것을 당부 드리며, 여러분의 능력과 열정에 대한 저의 굳은 믿음과 격려를 전하고자 합니다. 우리의 헌신적인 노력이 선진한국의 자랑스러운 역사의 한 장으로 남을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합시다. 새해에도 더욱 건강하시고 여러분과 여러분 가정에 만복이 가득하시기를 충심으로 기원합니다. 2008년 1월 1일 기초기술연구회 이사장 유희열
별정직연구원 모집
1. 응모자격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한 자(군면제 포함)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시 관계법령에 따라 우대함 2. 채용분야 및 자격 채용 분야 직무내용 채용 예정인원 지 원 자 격 금속공학분야 -합금설계를 위한 이론적 모델링 -합금 용해 실험 및 미세조직 분석 1명 -석사학위 이상 -금속공학 전공 -해당분야에 2년 이상의 연구경험자 대뇌전기생리학, 해부학 -대뇌 전기생리학, 해부학 실험의 보조 1명 -학사졸업 -생명과학, 심리학 신경공학 -뇌신호 측정 및 분석 -뇌영상 기술 개발 1명 -신경과학 혹은 분자영상 관련 분야 전공 -신경공학/바이오공학 -박사이상 및 박사수료 물리 -전자기적인 고성능 바이오센서 소자 설계 -전자기적인 고성능 바이오센서 소자 제작 및 분석 1명 -박사 이상 -물리전공, 반도체공정 경험자 박막 및 소자 -스퍼터 오퍼레이터 1명 -학사 이상 -물리 전공 로봇 소프트웨어 -로봇 프로그래밍 (미들웨어) -로봇 S/W 프레임워크 모듈 개발 -모듈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2-3명 -학사 이상 -전기,전자,컴퓨터관련 전공 이차전지 -리튬이차전지용 전극제조 및 특성조사 1명 -신소재공학 전공 -학사 이상 연료전지 공정제어 -연료전지 제작 및 평가 -재료합성 및 평가 3명 -석사학위 이상 -화공, 재료, 기계 전공 환경공학/ 화학공학/ 미생물공학 -막분리-조합형 반응조 개발 및 운전 -바이오 가스 생산 공정 개발 및 운전 1-2명 -석사/박사학위 이상 -환경공학/화학공학/미생물공학 전공 화학/화공 -이온성 액체계 촉매 합성 -고분자 합성 1명 -이온성액체 관련 1년이상 연구경험자 -박사이상 -화공 전공 생화학 -분자영상화를 위한 세포, 생화학 기반 기술 1명 -생화학 분야 기초지식이 있는 자 -학사 이상 -생화학,화학,생물학 전공 환경(보건/공/과)학, 독성학 -신화학물질 등록제도(REACH) 관련 업무 참여 -물리화학적성질, 독성평가, QSAR, 위해 성평가 등에 참여 -화학물질 명명법 조사 및 수행 2명 -환경(보건/공/과)학, 독성학,화학, 분석 화학 관련학과 -학사 이상 (석사, Post-Doc 및 유경험 자 우대) 의공학 및 생명공학 -메디칼 시뮬레이션 -관절염 진단 영상 연구 1명 -관련 전공 학사 취득자 -의공학 및 생명공학 전공 유기합성 -유기합성 -화합물 분석 1명 -학사 이상 -화학, 약학 전공 구조생물학 -유전자 클로닝, 단백질 분리 정제 -단백질 결정화 및 결정 데이터 수집 2명 -분자생물학이나 단백질 정제 경험이 있는 자 우대 3.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시간제 근무 4.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 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5. 제출서류 가. 지원서 (별첨양식) 나. 대학이상 성적증명서 각 1부 6. 접수기간 및 접수처 가. 접수기간 : 2008. 1. 1 ~ 2008. 1. 10 (우편 또는 e-mail 접수,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나. 채용분야별 접수처 및 문의처 채용 분야 문의처 접수처 금속공학 분야 이승철 박사 (02-958-6781)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미래융합기술연구소장 이메일:ksju@kist.re.kr 대뇌 전기생리학, 해부학 정수영 박사 (02-958-6954) 신경공학 최지현 박사 (02-958-6952) 물리 이병철 (02-958-6730)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나노과학연구본부장실 이메일:mokim@kist.re.kr 박막 및 소자 김봉숙 (02-958-5402)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재료기술연구본부장실 이메일:kbs@kist.re.kr 로봇 소프트웨어 안상철 박사 (02-958-5777)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지능시스템연구본부장실 이메일:lym3359@kist.re.kr 이차전지 이설희 (02-958-5808)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에너지.환경연구본부장실 이메일:sungsuk66@kist.re.kr 연료전지 공정제어 김형준 박사 (02-958-5299) 환경공학/화학공학/ 미생물공학 이영행 박사 (02-958-5841) 화학/화공 정아름 (02-958-5807) 생화학 전혜성 박사 (02-958-5914)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생체과학연구본부장실 이메일:bslee@kist.re.kr 환경(보건/공/과)학, 독성학 윤창노 박사 (02-958-5078) 의공학 및 생명공학 윤인찬 박사 (02-958-5913) 유기합성 노은주 박사 (02-958-6779) 구조생물학 김은경 박사 (02-958-5937)
제 10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안내
제 10회 송곡과학기술상 시상안내 • 송곡과학기술상은 송곡(松谷) 최형섭 박사(KIST 초대 소장, 과학기술처 장관역임)의 업적을 기리고자 세계적 수준의 우수한 연구업적을 이룩한 젊은 국내 과학기술자를 찾아 포상하는 것으로『신소재개발 분야』와『과학기술 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로 구분하여 시상하고 있습니다. • 제 10회 시상은『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에 대하여 시상하오니 아래 요령에 따라 우수한 수상후보자를 추천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1. 후보자 자격 및 연구업적 범위 가.국내의 연구기관, 대학교, 기타 산업체 등에서 재직 또는 근무하고 있는 40대 전후의 연구자로써, 나.과학기술정책 및 연구관리 분야에 관한 연구업적 대부분이 국내에서 이루어지고 다.그 연구업적으로 인하여 우리나라 과학기술 및 산업경제 발전에 크게 공헌하고 앞으로도 계속 동 분야에서 연구할 것으로 기대되는 자. 2. 시상인원 : 1 인 3. 시상내용 : 상장 및 부상(상금 1천만원) 4. 제출서류 : 추천서 및 연구업적이 담긴 이력서, 증빙자료 5. 추천서 접수 : 2007. 12. 28(금)까지, E-mail 접수 가능 6. 접수처 : (우) 136-791 서울시 성북구 하월곡동 39-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인사경영팀(E-mail : jhl@kist.re.kr) 7. 심사 및 선정 : 송곡과학기술상 운영위원회에서 심사하여 결정 8. 시상일 및 장소 : 2008. 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별정직연구원 모집
1. 응모자격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한 자(군면제 포함)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시 관계법령에 따라 우대함 2. 채용분야 및 자격 채용 분야 직무내용 채용 예정인원 지 원 자 격 신경과학 -정신분열증 모델생쥐를 이용한 고등인기능 연구 1명 -국내외 대학 졸업 이상 혹은 졸업예정자 -생물,생화학,심리학,생명공학 전공 칼코지나이드 박막 및 소자 -CRAM용 재료 성막 및 물성평가 -CRAM 소자 제작 단위 공정 1명 -학사학위 이상 -재료 물리, 전자 전공 금속착수소화물 -수소저장용 금속찻구소화물 합성 -금속착수소화물 특성 평가 1명 -석사학위 이상 -무기화학 전공 금속재료, 상변태 -박막제조공정 및 리스그라피 -기능성 박막 물성평가 1명 -학사 이상 -재료공학 전공 고각형비 분말 제조 및 박형필 -고각형비 분말 제조 및 평가 -박형필름 고정 개발 2명 -학사 이상 -재료공학 전공 전자/전산 -DirectX를 이용한 그래픽 인터페이스 개발 1명 -전자/전산 전공 -DirectX 프로그램, Visual C/C++ 프로그램 유경험자 -학사 이상 로봇 소프트웨어 -로봇 프로그래밍(미들웨어) -로봇 미들웨어 porting -로봇 응용 소프트웨어 개발 1-2명 -Linux 활용 경험이 있는 분 -C, C++ 프로그래밍 가능한 분 (추가로 Java 프로그래밍 가능자 우대) -학사이상 -전기,전자,컴퓨터관련 전공 화학공학/화학 /물리 -BioMEMS 실험 또는 계산 연구 -Micro-Chip 제작과 미세분석 실험 1명 -나노바이오, 마이크로유체, MEMS 전공 -석사 학위 이상 대기, 촉매 -기상 합성 촉매 합성 및 메카니즘 규명 -촉매 분해 실험 및 메카니즘 1명 -석사학위 이상 -촉매 관련 연구 경험자 우대 -화공,화학,환경공학 전공 화학/분석화학 -EU의 REACH 제도 관련 업무 참여 -화학물질 명명법 조사 및 수행 2명 -학사 이상 -화학/분석화학 전공 화학 및 생물학 관련 -질량분석기를 이용한 대사체학 연구 -Bioinformatics를 이용한 clustering 연구 2명 -석사이상 (석사이상 1, 박사이상 1) -화학 및 생물학 전공 3.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시간제 근무 4.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 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5. 제출서류 가. 지원서 (별첨양식) 나. 대학이상 성적증명서 각 1부 6. 접수기간 및 접수처 가. 접수기간 : 2007. 12. 10 ~ 2007. 12. 19 (우편 또는 e-mail 접수,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나. 채용분야별 접수처 및 문의처 채용 분야 문의처 접수처 신경과학 김희정 (02-958-6939)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미래융합기술연구소장 이메일:ksju@kist.re.kr 칼코지나이드 박막 및 소자 이수연 박사 (02-958-6679)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재료기술연구본부장실 이메일:kbs@kist.re.kr 금속착수소화물 심재혁 박사 (02-958-6760) 금속재료, 상변태 김봉숙 (02-958-5402) 고각형비 분말 제조 및 박형필 김봉숙 (02-958-5402) 전자/전산 박지형 박사 (02-958-5632)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지능시스템연구본부장실 이메일:lym3359@kist.re.kr 로봇 소프트웨어 안상철 박사 (02-958-5777) 화학공학/화학 /물리 전명석 박사 (02-958-5363)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에너지.환경연구본부장실 이메일:sungsuk66@kist.re.kr 대기, 촉매 진성민 (02-958-5597) 화학/분석화학 윤창노 박사 (02-958-5068)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생체과학연구본부장실 이메일:bslee@kist.re.kr 화학 및 생물학 관련 최만호 박사 (02-958-5081)
제2회 대한민국 u-로봇 대상 시상식 안내
■ 행사개요 o 일 시 : 2007. 12. 14(금) 18:00~20:00 o 장 소 : 스위스 그랜드 힐튼 호텔 컨벤션홀 (서울 홍은동 소재) o 주 최 : 정보통신부 o 주 관 : 한국지능로봇산업협회, 파이낸셜뉴스 o 후 원 : 한국정보사회진흥원, 정보통신연구진흥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 한국로봇공학회, 한국정보통신산업협회 ■ 주요내용 o 오프닝 이벤트 : 로봇과 인간의 하모니 o 제2회 대한민국 u-로봇 대상 시상식 o 만찬 및 문화공연 등 ■ 참가신청안내 참가신청 기한 : 2007. 12. 11(화) 18:00시까지 참가신청 방법 : 참가확인서 양식(첨부파일 다운로드) → 작성 후 팩스 또는 이메일 전송 ■ 신청 및 문의처 한국지능로봇산업협회 산업진흥팀 Tel. 02-780-3060 Fax. 02-780-3062 이메일. kaira02@kaira.or.kr
별정직연구원 모집
1. 응모자격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한 자(군면제 포함)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시 관계법령에 따라 우대함 2. 채용분야 및 자격 채용 분야 직무내용 채용 예정인원 지 원 자 격 동물학/생물학 -실험동물 일반 사육관리 -Mouse embryo work 1명 -동물학/생물학 관련 전문학사 이상 -실험동물 경력자 우대 물리야금, 철강재료 -핵융합로용 철강소재, 고강도 lean alloy 철강 소재와 같은 고기능성 철강 소재 개발 과제 참여 1명 -재료공학, 금속공학, 신소재공학 전공 -석사학위 이상 세라믹공정 -SOFC용 세라믹스 박후막 공정 및 물성평가 1명 -재료(금속,세라믹) 전공 고성능 복합재료 -고성능 복합재료 -고분자 공정 1명 -화학, 화공, 재료공학 전공 -학사이상 화학공학/화학 -초임계 유체를 반응매체로 이용하고 불균일 촉매를 이용한 난분해성물질의 분해 1명 -초임계 유체, 촉매 전공자 -석사 이상 환경공학 -R/O Desalination 기술 개발 -SWRO를 위한 해수전처리 기술 개발 1명 -석사 이상 -환경공학, 수처리 및 수질분석 전공 연소/열전달 CFD -수소의 누출확산 및 화염에 대한 수치 해석 -수소 누출확산실험의 설계 및 시험 관리 1명 -박사 이상 -수치해석 전공 생화학 -molecular cloning -단백질 정제 2명 -학사 이상 -분자생물학, 생화학, 생명과학 전공 생화학, 생물학 -분자영상화를 이용한 세포내 분자들간의 상호작용 관찰 -생화학, 분자생물학 기반실험 2명 -학사 이상 -생화학, 분자생물학에 기초지식이 있는 자 3.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시간제 근무 4.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 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5. 제출서류 가. 지원서 (별첨양식) 나. 대학이상 성적증명서 각 1부 6. 접수기간 및 접수처 가. 접수기간 : 2007. 11. 20 ~ 2007. 11. 29 (우편 또는 e-mail 접수,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나. 채용분야별 접수처 및 문의처 채용 분야 문의처 접수처 동물학/생물학 박준오 (02-958-6934)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미래융합기술연구소장실 이메일:ksju@kist.re.kr 물리야금, 철강재료 김동익 박사 (02-958-5432)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재료기술연구본부장실 이메일:kbs@kist.re.kr 세라믹공정 재료기술본부장실 (02-958-5402) 고성능 복합재료 재료기술본부장실 (02-958-5402) 화학공학/화학 김재덕 박사 (02-958-5873)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에너지.환경연구본부장실 이메일:sungsuk66@kist.re.kr 환경공학 김두일 (02-958-6860) 이석헌 (02-958-5829) 연소/열전달 CFD 김종수 박사 (02-958-5818) 생화학 안형준 박사 (02-958-5938)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생체과학연구본부장실 이메일:bslee@kist.re.kr 생화학, 생물학 전혜성 박사 (02-958-5914)
별정직 연구원 모집
1. 응모자격 ○ 국가공무원법 제33조의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남자의 경우 병역을 필한 자(군면제 포함)로 해외여행에 결격사유가 없는 자 ○ 보훈대상자 및 장애인은 증빙서류 제출시 관계법령에 따라 우대함 2. 채용분야 및 자격 채용 분야 직무내용 채용 예정인원 지 원 자 격 기계/소재 -지능형 센서 및 액추에이터 기술 개발 -초고속 전동기 시스템 기술 개발 2명 -스마트 센서 & 액추에이터 개발 분야 에 관심이 있는 자 -초고속 전동기 시스템 기술 개발 -석사이상 -기계/계측/제어 전공 기계 -유비퀴터스 동력원 개발 및 아이스슬러리 의 지역냉방시스템 연구 1명 -마이크로 에너지하베스트 분야 관심자 -열유체분야 기본 지식 확보자 -석사 이상 -기계공학 전공 화학공학/화학 /물리 -Micro/Nano 시스템의 분자시뮬레이션, 혹은 Microfluidics 및 Microchip 관련 연구 1명 -나노바이오, 마이크로유체, MEMS 전공 -박사 이상 환경공학 -R/O Desalination 기술개발 -SWRO를 위한 해수전처리 기술개발 1명 -석사 이상 -환경공학, 수처리 및 수질분석 전공 화학/화학공학 -석유화학공정 개발연구 사업단 운영 업무 1명 -학사 이상 -화학, 화공 분야 전공자 유기합성/ 의약화학 -STAT6 신호 전달체계를 조절할 수 있는 신규 유기화합물의 합성 1명 -석사 이상 -유기합성 전공 생체재료/ 생물학 -고기능성 의료용 고분자 재료 개발 -줄기세포를 이용한 인공조직 재생 1명 -학사 이상 -생물학, 생체재료, 조직공학 3. 채용조건 가. 국민연금, 건강보험, 고용보험, 산재보험 적용 나. 시간제 근무 4. 전형방법 가. 1차 - 서류전형 나. 2차 - 면접전형 (서류 전형 합격자에 한해 개별통보) 다. 3차 - 신원조회 5. 제출서류 가. 지원서 (별첨양식) 나. 대학이상 성적증명서 각 1부 6. 접수기간 및 접수처 가. 접수기간 : 2007. 11. 1 ~ 2007. 11. 10 (우편 또는 e-mail 접수, 마감일 도착분에 한함) 나. 채용분야별 접수처 및 문의처 채용 분야 문의처 접수처 기계/소재 김충현 박사 (02-958-5668)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지능시스템연구본부장실 이메일:lym3359@kist.re.kr 기계 이윤표 박사 (02-958-5672) 화학공학/화학/물리 전명석 박사 (02-958-5363)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에너지.환경연구본부장실 이메일:sungsuk66@kist.re.kr 환경공학 김두일 (02-958-6860) 이석헌 (02-958-5829) 화학/화학공학 박태진 박사 (02-958-5191) 유기합성, 의약화학 신동윤 박사 (02-958-5143) 서울 성북구 하월곡동 39-1 생체과학연구본부장실 이메일:bslee@kist.re.kr 생체재료, 생물학 한동근 박사 (02-958-528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