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ult
게시물 키워드""에 대한 9450개의 검색결과를 찾았습니다.
“과학기술+디자인” KIST-홍익대, ‘AI·로봇’ R&D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익대학교는 과학기술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 강화를 통한 공공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6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 및 스마트팜 생산기술 개발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공동연구 육성을 위한 상호 기술·인력교류 ▷공동세미나 또는 심포지엄, 기타 연구발표회 개최 등이다. 특히 KIST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는 실제 연구부서 간 업무협약을 동시에 체결하고 KIST는 로봇 및 AI 기술 개발, 홍익대는 로봇 디자인 및 UI, UX 설계 등 강점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진행하게 되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의 연구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홍익대의 전문가들이 서비스 디자인에 있어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며, KIST의 임무중심 연구소 중 하나인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가 공공서비스 로봇 연구에서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주 홍익대 총장은 “과학기술에서도 디자인 요소는 기능과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제품이나 기술이 성공적으로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해 양 기관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 https://biz.heraldcorp.com/article/3848426
“과학기술+디자인” KIST-홍익대, ‘AI·로봇’ R&D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익대학교는 과학기술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 강화를 통한 공공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6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 및 스마트팜 생산기술 개발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공동연구 육성을 위한 상호 기술·인력교류 ▷공동세미나 또는 심포지엄, 기타 연구발표회 개최 등이다. 특히 KIST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는 실제 연구부서 간 업무협약을 동시에 체결하고 KIST는 로봇 및 AI 기술 개발, 홍익대는 로봇 디자인 및 UI, UX 설계 등 강점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진행하게 되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의 연구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홍익대의 전문가들이 서비스 디자인에 있어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며, KIST의 임무중심 연구소 중 하나인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가 공공서비스 로봇 연구에서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주 홍익대 총장은 “과학기술에서도 디자인 요소는 기능과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제품이나 기술이 성공적으로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해 양 기관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 https://biz.heraldcorp.com/article/3848426
“과학기술+디자인” KIST-홍익대, ‘AI·로봇’ R&D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익대학교는 과학기술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 강화를 통한 공공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6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 및 스마트팜 생산기술 개발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공동연구 육성을 위한 상호 기술·인력교류 ▷공동세미나 또는 심포지엄, 기타 연구발표회 개최 등이다. 특히 KIST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는 실제 연구부서 간 업무협약을 동시에 체결하고 KIST는 로봇 및 AI 기술 개발, 홍익대는 로봇 디자인 및 UI, UX 설계 등 강점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진행하게 되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의 연구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홍익대의 전문가들이 서비스 디자인에 있어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며, KIST의 임무중심 연구소 중 하나인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가 공공서비스 로봇 연구에서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주 홍익대 총장은 “과학기술에서도 디자인 요소는 기능과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제품이나 기술이 성공적으로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해 양 기관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 https://biz.heraldcorp.com/article/3848426
“과학기술+디자인” KIST-홍익대, ‘AI·로봇’ R&D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익대학교는 과학기술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 강화를 통한 공공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6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 및 스마트팜 생산기술 개발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공동연구 육성을 위한 상호 기술·인력교류 ▷공동세미나 또는 심포지엄, 기타 연구발표회 개최 등이다. 특히 KIST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는 실제 연구부서 간 업무협약을 동시에 체결하고 KIST는 로봇 및 AI 기술 개발, 홍익대는 로봇 디자인 및 UI, UX 설계 등 강점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진행하게 되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의 연구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홍익대의 전문가들이 서비스 디자인에 있어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며, KIST의 임무중심 연구소 중 하나인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가 공공서비스 로봇 연구에서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주 홍익대 총장은 “과학기술에서도 디자인 요소는 기능과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제품이나 기술이 성공적으로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해 양 기관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 https://biz.heraldcorp.com/article/3848426
“과학기술+디자인” KIST-홍익대, ‘AI·로봇’ R&D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익대학교는 과학기술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 강화를 통한 공공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6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 및 스마트팜 생산기술 개발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공동연구 육성을 위한 상호 기술·인력교류 ▷공동세미나 또는 심포지엄, 기타 연구발표회 개최 등이다. 특히 KIST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는 실제 연구부서 간 업무협약을 동시에 체결하고 KIST는 로봇 및 AI 기술 개발, 홍익대는 로봇 디자인 및 UI, UX 설계 등 강점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진행하게 되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의 연구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홍익대의 전문가들이 서비스 디자인에 있어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며, KIST의 임무중심 연구소 중 하나인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가 공공서비스 로봇 연구에서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주 홍익대 총장은 “과학기술에서도 디자인 요소는 기능과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제품이나 기술이 성공적으로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해 양 기관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 https://biz.heraldcorp.com/article/3848426
“과학기술+디자인” KIST-홍익대, ‘AI·로봇’ R&D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익대학교는 과학기술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 강화를 통한 공공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6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 및 스마트팜 생산기술 개발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공동연구 육성을 위한 상호 기술·인력교류 ▷공동세미나 또는 심포지엄, 기타 연구발표회 개최 등이다. 특히 KIST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는 실제 연구부서 간 업무협약을 동시에 체결하고 KIST는 로봇 및 AI 기술 개발, 홍익대는 로봇 디자인 및 UI, UX 설계 등 강점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진행하게 되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의 연구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홍익대의 전문가들이 서비스 디자인에 있어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며, KIST의 임무중심 연구소 중 하나인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가 공공서비스 로봇 연구에서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주 홍익대 총장은 “과학기술에서도 디자인 요소는 기능과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제품이나 기술이 성공적으로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해 양 기관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 https://biz.heraldcorp.com/article/3848426
“과학기술+디자인” KIST-홍익대, ‘AI·로봇’ R&D 맞손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익대학교는 과학기술에 필요한 디자인 요소 강화를 통한 공공기술 개발 협력을 위해 양해각서(MOU)를 6일 체결했다. 이번 양해각서의 주요 내용은 ▷인공지능, 로봇 기술 개발 및 스마트팜 생산기술 개발 연구협력 ▷국가연구개발사업 상호 협력 및 공동연구 추진 ▷공동연구 육성을 위한 상호 기술·인력교류 ▷공동세미나 또는 심포지엄, 기타 연구발표회 개최 등이다. 특히 KIST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는 실제 연구부서 간 업무협약을 동시에 체결하고 KIST는 로봇 및 AI 기술 개발, 홍익대는 로봇 디자인 및 UI, UX 설계 등 강점 분야에서 본격적인 협력을 진행하게 되었다. 오상록 KIST 원장은 “KIST의 연구자들이 기술적인 측면에 집중하고 홍익대의 전문가들이 서비스 디자인에 있어 협력하면 큰 시너지 효과가 있을 것이며, KIST의 임무중심 연구소 중 하나인 AI·로봇연구소와 홍익대 스마트모빌리티연구소가 공공서비스 로봇 연구에서 활발한 협력을 통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좋은 성과를 창출할 것”이라고 밝혔다. 박상주 홍익대 총장은 “과학기술에서도 디자인 요소는 기능과 사용성을 높이고, 사용자의 경험을 개선하며, 궁극적으로 제품이나 기술이 성공적으로 채택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면서 “이번 협약 체결을 통해 양 기관이 더 많은 분야에서 협력해 양 기관의 발전과 사회 발전에 기여하길 희망한다”고 강조했다. 관련 : https://biz.heraldcorp.com/article/3848426
이동 가능한 양팔로봇, 대학3곳과 공동연구실
현대차·기아가 국내 최대 연구 기관인 서울대·포스텍·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손잡고 ‘이동형 양팔 로봇 기술’을 연구한다고 23일 밝혔다. 4개 기관은 향후 3년 동안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결성하기로 했다. 특정 장소에 국한되는 연구실은 아니며, 각자의 연구 공간에서 이동형 양팔 로봇을 비롯한 로봇 기술에 관한 과제와 방향성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관련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고 기술을 내재화하는 것이 목표다. 사람처럼 두 손을 이용하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동형 양팔 로봇’은 미래 로봇 기술의 핵심으로 꼽힌다. 기존 로봇 대비 정교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을 대폭 올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술이 일반화되고 대규모 양산이 이뤄지는 시기엔 일반 가정에도 도입돼 우리 삶의 모습을 크게 바꿀 전망이다. 현대차·기아의 로보틱스랩은 하드웨어, 서울대는 로봇의 인식 기능에 관한 소프트웨어 고도화에 주력한다. 포스텍은 로봇 조종 장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로봇의 움직임을 예측해 제어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한다. 현대차·기아는 한국에서는 로보틱스랩, 미국에서는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중심으로 로봇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미래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에서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이동형 양팔 로봇’ 기술이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을 창출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관련 :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4/10/24/37WY6WIEBRGQFPNAFPOEXQMVCQ/?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이동 가능한 양팔로봇, 대학3곳과 공동연구실
현대차·기아가 국내 최대 연구 기관인 서울대·포스텍·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손잡고 ‘이동형 양팔 로봇 기술’을 연구한다고 23일 밝혔다. 4개 기관은 향후 3년 동안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결성하기로 했다. 특정 장소에 국한되는 연구실은 아니며, 각자의 연구 공간에서 이동형 양팔 로봇을 비롯한 로봇 기술에 관한 과제와 방향성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관련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고 기술을 내재화하는 것이 목표다. 사람처럼 두 손을 이용하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동형 양팔 로봇’은 미래 로봇 기술의 핵심으로 꼽힌다. 기존 로봇 대비 정교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을 대폭 올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술이 일반화되고 대규모 양산이 이뤄지는 시기엔 일반 가정에도 도입돼 우리 삶의 모습을 크게 바꿀 전망이다. 현대차·기아의 로보틱스랩은 하드웨어, 서울대는 로봇의 인식 기능에 관한 소프트웨어 고도화에 주력한다. 포스텍은 로봇 조종 장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로봇의 움직임을 예측해 제어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한다. 현대차·기아는 한국에서는 로보틱스랩, 미국에서는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중심으로 로봇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미래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에서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이동형 양팔 로봇’ 기술이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을 창출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관련 :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4/10/24/37WY6WIEBRGQFPNAFPOEXQMVCQ/?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
이동 가능한 양팔로봇, 대학3곳과 공동연구실
현대차·기아가 국내 최대 연구 기관인 서울대·포스텍·한국과학기술연구원과 손잡고 ‘이동형 양팔 로봇 기술’을 연구한다고 23일 밝혔다. 4개 기관은 향후 3년 동안 ‘로보틱스 공동 연구실’을 결성하기로 했다. 특정 장소에 국한되는 연구실은 아니며, 각자의 연구 공간에서 이동형 양팔 로봇을 비롯한 로봇 기술에 관한 과제와 방향성을 공유하는 방식이다. 관련 기술의 경쟁력을 높이고 기술을 내재화하는 것이 목표다. 사람처럼 두 손을 이용하고 자유롭게 움직이는 ‘이동형 양팔 로봇’은 미래 로봇 기술의 핵심으로 꼽힌다. 기존 로봇 대비 정교하고 복잡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산업 현장에서 생산성을 대폭 올려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 기술이 일반화되고 대규모 양산이 이뤄지는 시기엔 일반 가정에도 도입돼 우리 삶의 모습을 크게 바꿀 전망이다. 현대차·기아의 로보틱스랩은 하드웨어, 서울대는 로봇의 인식 기능에 관한 소프트웨어 고도화에 주력한다. 포스텍은 로봇 조종 장비, 한국과학기술연구원은 로봇의 움직임을 예측해 제어하는 연구를 주로 수행한다. 현대차·기아는 한국에서는 로보틱스랩, 미국에서는 자회사 보스턴다이내믹스를 중심으로 로봇 기술을 내재화하고 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미래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에서는 환경과 상호작용하는 ‘이동형 양팔 로봇’ 기술이 핵심 역할을 담당할 것”이라며 “기술을 고도화해 다양한 서비스 로보틱스 시장을 창출하도록 노력할 예정”이라고 했다. 관련 : https://www.chosun.com/economy/auto/2024/10/24/37WY6WIEBRGQFPNAFPOEXQMVCQ/?utm_source=naver&utm_medium=referral&utm_campaign=naver-news